2002대입 절대평가 영향 고1 '점수 잘주기' 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올해 고1 중간.기말고사 성적평가가 '엿가락' 이다.

상당수 고교들이 성적을 올려주기 위해 어렵게 출제된 과목은 재시험을 실시하거나 출제문제 사전 예시 등 노골적인 '쉽게 출제하기' 에 나서고 있다.

고1에게 적용될 2002학년도 대입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학교생활기록부 비중이 훨씬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평가를 둘러싼 학교.학부모 갈등이 커지는 등 자칫 3년 전 '학생부 파동' 이 재현될 우려마저 낳고 있다.

◇ 실태 = 서울 Y여고는 지난 8일 1학년 기말고사 수학시험을 치렀으나 지난 13일 다시 시험을 실시했다.

한 교사는 "1차 시험 결과 학생들 평균성적이 60점 미만이어서 대부분 학생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가' 를 맞게 돼 2차 시험을 봤다" 고 밝혔다.

그러나 한 학부모는 "학교측이 1차 시험을 20%만 반영하고 재시험을 80% 반영하기로 해 수학을 잘 하는 학생이 손해보게 됐다" 며 반발했다.

서울 I여고는 지난 8일부터 실시한 1학년 기말고사 때 영어 담당교사가 사전에 교과서내 출제 범위를 알려줘 잡음이 일기도 했다.

이 학교의 한 교사는 "교무회의에서 1학년 평균점수가 75점 이상 나와야 한다는 지시가 있었다" 고 말했다.

서울 B고교는 최근 실시한 1학년 기말고사 평균 점수를 70점으로 정한 뒤 대부분 과목 교사들이 예상문제 1백개 정도를 제시, 그 중에서 30개 정도를 출제했다.

B고교 한 교사는 "암기과목은 중간고사보다 평균 30점이 올라 학생 절반 이상이 '수' 를 맞을 것 같다" 고 말했다.

또 이 학교의 기말고사 수학과목에는 초등학생이 풀 수 있는 수준의 분수문제가 출제됐다고 한다.

실제로 종로학원이 지난 5월 서울지역 6개 학교의 중간시험 국어.영어.수학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전체 문제의 50%는 중학 3학년 학생에 어울리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과학고.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중에는 기말고사 문제가 너무 쉬워 1학년 절반 이상이 '수' 를 맞는 곳도 나올 전망이다.

◇ 원인 = 2002학년도 대입에서는 학생부 비중이 상당히 커진 데다 현재 고1부터 학생부 학업성취도 (수.우.미.양.가) 산출방식이 완전 절대평가로 변경됐다.

현재의 고2까지는 교육부 '고교학업성적 관리지침' 의 '교과별 성취도 평정환산표' 에 따라 같은 80점이라도 평균성적이 '44점 이하' 면 '수' , '45~49점' 이면 '우' 등 과목마다 평균점수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다르다.

그러나 고1부터는 평균에 관계없이 90점 이상이면 '수' 에 해당하는 등 절대 잣대가 생김에 따라 고교가 성적 올리기에 나선 것이다.

여기에다 2002년에서는 대부분 대학이 학생부 성적 중 '과목석차 (등수)' 보다 '학업성취도' 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돼 성적올리기를 부추기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험문제 유출.엉터리 문제 출제 등 심각한 상황이 아니면 절대로 재시험을 볼 수 없다" 며 "시험성적을 올리기 위해 재시험을 봤다면 학교장을 문책하겠다" 고 밝혔다.

오대영.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