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장회의 난상토론 '국민신뢰 찾자' 머리맞댄 8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25일 대검 청사에서 열린 전국 검사장회의는 시종일관 무겁고 침통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오전 9시30분 정각에 시작된 회의는 점심을 구내식당에서 간단히 마친 뒤 곧바로 속개돼 오후 6시가 넘도록 계속됐다.

장관.총장의 형식적인 훈시를 듣고 오후 회의를 대충하고 저녁 회식자리를 갖던 과거와는 분명 달라진 모습이다.

◇ 회의 배경 = 박순용 (朴舜用) 검찰총장은 요즘의 검찰상황을 "검사들 사이에 좌절감이 팽배하고 조직이 동요하는, 검찰 사상 최대의 시련기" 라고 진단했다.

검찰 수뇌부가 지난 2월 초 평검사들의 서명파동을 "일부 평검사들의 서명미수 사건" 으로 강변하던 것과는 분위기가 판이하다.

올해 들어 검찰로서는 시련의 연속이었다.

대전 법조비리 사건을 출발점으로 심재륜 (沈在淪) 전 고검장의 성명파동과 평검사 서명사태에 이어 김태정 (金泰政) 전 검찰총장 부인의 옷로비의혹 사건, 金전총장의 법무부장관 임명과 보름만의 불명예 퇴진, 진형구 (秦炯九) 전 대검공안부장의 파업유도 발언 등 일련의 사태들이 불과 6개월 사이에 줄줄이 터졌다.

검찰은 그때마다 폭풍의 정점에서 한번도 비켜가지 못했다.

그 결정판으로 나온 것이 秦전공안부장에 대한 국회의 국정조사와 특검제다.

정치권은 특검제를 일반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 경우 검찰의 기소독점주의 아성 (牙城) 은 무너진다.

최근 불거진 검 - 경 갈등도 마찬가지다.

검찰은 외형상 '무대응'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여론이 "검찰을 못믿겠는데 경찰이 독립한들 무슨 상관이냐" 는 쪽으로 돌아갈까봐 노심초사하고 있다.

특검제가 상설화되고 경찰 수사권 독립이 표면화되면 검찰의 영향력과 위상은 극도로 위축된다.

서울지검의 한 검사는 "단순히 특검제가 문제가 아니라 국민이 검찰을 못믿는다는 게 더 괴롭다" 며 "조직이 동요하고 있다" 고 토로했다.

◇ 어떤 대응책이 나왔나 = 검찰 수뇌부는 이구동성으로 신뢰회복을 외쳤다.

朴총장은 "그동안 검찰의 중립성이 훼손됐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고 시인한 뒤 "원칙과 기본으로 돌아가 오로지 정도 (正道) 만을 당당하게 걷는다는 절실한 다짐을 행동으로 보여주자" 고 말했다.

김정길 (金正吉) 장관 역시 "엄정하고 중립적 자세로 모든 사건을 곧고 바르게 처리하자" 고 말했다.

검찰의 모든 문제가 정치적 중립성 훼손에서 시작된다는 비판을 스스로 수용하는 듯한 대목이다.

검찰 수뇌부에 전달된 평검사들의 의견 중에는 "총장이 퇴임 후 일정기간 공직을 맡지 않도록 하자" "대국민 정치중립 선언을 하자" 는 내용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선 또 자체 기강확립을 위해 ▶검사들의 대낮 폭탄주 금지 ▶비리발견시 과거보다 훨씬 엄중한 처벌 ▶암행감사 활성화 방안 등이 제시됐다.

검찰 수뇌부는 "지속적 사정 (司正) 활동을 통해 구조적 비리와 부정부패를 척결해 나갈 때만 국민적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고 결론지었다.

이는 검찰이 대대적인 사정을 단행하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 과연 달라질까 = 검찰 수뇌부가 평검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토론회를 가진 것은 이례적이다.

평검사들 사이에서도 "이대로는 안된다" 는 자성론이 팽배해 있어 변화의 분위기는 조성돼 있다.

그러나 오랜 병의 치유가 쉽지 않듯 과거의 관행과 구태가 하루아침에 달라질지는 의문이다.

또 정치권이 먼저 검찰을 자유롭게 해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