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필리핀 에스트라다 대통령 단독 회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국을 국빈방문 중인 조지프 에스트라다 필리핀 대통령을 숙소인 신라호텔에서 만났다.

그는 빈민의 친구로 대중적 인기를 누리는 정치인답게 말을 꾸미지 않고 소탈하게 질문에 응했다.

[대담= 김영희 대기자]

김영희 = 대통령께서는 지난해 대통령선거에서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됐지만 사회의 근간인 중산층과 상류층의 지지는 받지 못했습니다.

취임후 그들의 지지를 확보했습니까.

조지프 에스트라다 = 지난달까지 나에 대한 국민의 지지도는 72%나 됐어요. 국민들이 나를 깊이 신뢰한다는 의미죠.

김 = 빈곤층과 기업을 어떻게 동시에 만족시킵니까.

에스트라다 = 기업이 있어야 가난을 해결할 수 있어요. 기업은 성장의 원동력입니다.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전임 대통령이 추진하던 자유화.민영화.규제완화 정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김 = 91년 필리핀 상원은 미군기지의 유지를 연장하는 데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그때 그 결정에 찬성하셨습니까.

에스트라다 = 적극 찬성했어요. 외국 군대가 주둔하고 있어서는 완전한 독립국가라고 할 수 없어요.

김 = 한국에도 미군이 주둔하고 있지만 한국이 주권국가가 아니라고는 말하지 않는데요.

에스트라다 = 한국 사람과 필리핀 사람의 견해차이 아니겠습니까. 물론 필리핀 안에서도 견해를 달리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어요.

김 = 중국이 21세기의 동아시아에서 정치.군사적인 강대국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에 의한 균형파괴를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군사력을 계속 유지해야 합니까.

에스트라다 =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세력균형은 유지돼야 해요. 그러나 반드시 미군이 주둔하지 않더라도 필리핀의 경우처럼 미국과의 상호방위조약을 통해 지역의 세력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력균형자로서 미국의 군사력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합니다.

김 = 이런 질문 한다고 언짢게 생각 마시기 바랍니다. 대통령께서는 선거기간 중 스스로 외도를 한 사실 뿐 아니라 사생아까지 두고 있다는 사실을 시인해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정직과 솔직함의 극치라고 생각합니다만 정치에 있어 도덕은 얼마나 중요합니까.

에스트라다 = 그런 건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문제입니다. 대통령의 자질과는 관계없는 일 아닙니까.

김 = 그렇다면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도 르윈스키 사건으로 억울하게 곤욕을 치른 겁니까.

에스트라다 = 클린턴도 인간입니다. 사생활은 공적인 생활과 관계없다고 생각합니다.

김 = 미국의 레이건 전대통령에 이어 대통령께서는 영화배우 출신으로는 두번째로 주요 국가의 대통령이 된 인물입니다. 배우 경력이 대통령 하는데 플러스가 됩니까, 마이너스가 됩니까.

에스트라다 = 35년 동안 배우생활을 한 나는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이전부터 필리핀 국민들에게는 친근한 사람이었습니다. 배우로서의 나의 과거는 큰 자산입니다.

김 = 왜 정치에 뛰어 들었습니까.

에스트라다 = 배우는 한평생 못해요. 나는 배우시절 노동자.운전수.농부 등 빈민층 사람의 역할을 많이 하여 그들의 대폭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들에게 보답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김 = 바쁘신 가운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에스트라다는 누구인가

1937년 마닐라의 빈민가에서 출생. 소년시절 학교에서 낙제를 거듭하고, 대학에서는 토목공학을 전공하다가 실력부족으로 중퇴. 영화배우가 되어 주로 의적 (義賊) 역할로 명성을 쌓았다.

빈민의 대변자 이미지로 정치에 투신해 마닐라 교외의 산후안 시장을 16년간 지냈다.

행정능력을 인정받아 '필리핀의 10명의 우수한 젊은이' 에 선정된 후 87년 전국최고득표로 상원의원이 되고, 92년 부통령 당선. 98년 대통령 당선

정리 = 박장희.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