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복구 왜 더디나] 지자체 안이한 대응이 원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시립.군립묘지에 비해 사설묘지의 복구가 큰 문제다.

경기도내 42개 묘지 중 현재까지 복구가 완료되지 않고 있는 곳은 모두 12곳. 이중 11곳이 사설묘지이다.

사설묘지 대부분은 피해규모가 워낙 큰데다 공원묘지의 재단법인이 부실해 완전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피해규모가 큰 양주군 신세계.운경, 양평군 팔당공원묘지는 내년말쯤 완전복구될 전망. 특히 한달 앞으로 다가온 장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배수로 복구가 가장 시급한 실정인데도 배수로 복구율이 ^운경 3%^신세계 14%^팔당 23%에 불과하다.

공원묘지측은 지난해 수해가 천재지변인 데다 대부분 공원묘지가 공공성을 띤 비영리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정부의 자금.인력.장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는 이달 말부터 대규모 공공근로인력을 이들 묘지에 투입, 올 연말까지 복구작업을 도울 예정이다.

그러나 공공근로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장비도 부족해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경기도와 양주군은 유실 및 파손된 유골을 인근 1만9천8백여평의 그린벨트지역으로 이장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운경공원묘지측의 요청을 받아들여 지난 3일 건교부 등에 개발제한구역내 행위허가 승인신청을 제출했다.

용미리.벽제 등 서울시립묘지의 지지부진한 수해복구는 "부족한 예산이 가장 큰 문제" 라고 시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서울시 노인복지과 이정관 (李正寬) 과장은 "예산이 적다 보니 복구공사는 사고재발이 우려되는 곳에서 우선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고 말했다.

그러나 복구작업이 예상외로 더딘 데에는 부족한 예산 이외에도 관련 부서의 안이한 대응도 한 몫 했다는 지적이다.

예컨대 1백71개소에 달하는 산사태 발원지에 대한 복구는 지난달에서야 시작됐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향후 복구계획이 확정돼 있지 않다는 것. 올해 작업분에서 제외된 78개소의 계곡부 공사도 '2000년 이후 예정' 으로 돼 있을 뿐 설계.추정 예산 등 사전준비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익진.김준현.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