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제 조기공론화 野 물밑으로 번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서청원 (徐淸源) 전 사무총장이 촉발시킨 '내각제 조기 공론화' 주장이 조용하지만 깊숙한 파문을 던지고 있다.

정부조직개편안 날치기 처리로 인한 정국경색이 겹쳐 수면 위로 완전히 모습을 드러내진 못했지만 비주류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그동안 권력구조 문제에 대한 직접 거론은 주류.비주류측 모두 자제해 왔던 터여서 徐전총장의 발언은 일종의 '금기 (禁忌)' 를 깬 것으로 간주됐다.

우선 당소속 3선 이상 중진급 의원 모임인 무명회가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각제 공론화에 의견을 모은 이들은 조만간 지도부에 이를 건의키로 했다.

무명회 간사를 맡은 김중위 (金重緯) 의원은 "내각제 문제를 더 이상 여당에만 맡겨둘 수 없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며 "다만 당내 분란으로 비춰지지 않도록 (공론화의) 시기조절을 하고 있다" 고 전했다.

내각제 공론화가 호응을 얻고 있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다.

야당 생활의 조기청산 희망이 가장 큰 이유. 또 하나는 여당 교란용. 자민련의 이탈을 유도, 공동정권의 균열을 노리는 한편 16대 총선을 앞두고 두 여당간에 추진되는 연합공천의 고리를 느슨하게 하는 부대효과를 계산에 넣었음직하다.

徐전총장을 비롯, 조순 (趙淳) 명예총재와 김윤환 (金潤煥).이한동 (李漢東) 전 부총재 등 비주류는 반 (反) 이회창 (李會昌) 연대를 구축할 계기로 내각제 조기공론화를 은근히 지지하고 있다.

특히 徐전총장의 발언이 당내 비주류는 물론 자민련측 인사들과도 교감한 끝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이회창 총재는 이에 대해 여권의 '선 (先) 내각제 논의 매듭' 주장을 되풀이했다.그는 그러면서도 "앞으로 우리 당의 입장을 말할 시기가 올 것" 이라고 밝혀 8월 전 입장표명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