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장 커지는 '젊은층 수혈'론] 與 어떻게 수혈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대중 대통령의 '젊은층 수혈론' 은 어떤 제도를 지렛대로 현실화될까. 여권 핵심부는 그 구체적 방법론에 대해선 아직 함구하고 있다.

22일 "과거 많은 재야인사를 영입한 노하우가 우리에겐 있다" 며 수혈론의 목표를 '국민회의의 전국정당화' 로 규정한 한화갑 총무도 "아직 거론할 시기가 아니다" 며 답변을 피해갔다.

당내 상당수 인사가 세대교체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당내에서는 선거구제 등의 제도적 정치개혁이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관측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정당명부제가 채택될 경우 중진들이 비례대표로 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혁적인 젊은 전문인들을 정당명부에 올려놓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여권이 염두에 두고 있는 잠재적 '인재 풀' 인 시민단체와 학계에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대한 지지도가 높다는 점은 음미해볼 만한 대목이다.

정당명부제가 도입된다면 선거구의 크기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현재 국민회의의 당론은 소선거구제다.

그러나 소선거구제든, 중.대선거구제든 전국정당화의 목표가 달성될 수만 있다면 상관없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현재 여권의 공감대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