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시청료인상'/공영방송 역할 선행돼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최근 KBS의 박권상 사장은 2TV의 광고를 폐지 또는 축소하고 수신료를 인상함으로써 시청률 경쟁에서 벗어나 예산구조의 안정성을 확보, 공영성을 실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수신료 인상 요구에 앞서 선행돼야 할 논의들이 간과된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우선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정체성 확보를 위한 자구노력이 있어야 한다.

KBS가 공영방송이라고는 하지만 이제까지의 모습은 타방송사와 큰 차별성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시청률에 의존한 프로그램의 편성 및 정보.교양프로의 개발 부족과 이들 프로에 대한 편성상의 문제가 여전하다.

또한 타방송사와 과열된 드라마 경쟁을 벌이거나 선정.폭력적인 (사건재연) 프로를 지속적으로 제작, 방송하고 있는 모습은 과연 KBS가 공영방송인가 하

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괜찮은 프로 한두편 끼워 넣었다고 공영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우리는 타방송사보다 낫다' 는 발상에서 벗어나 과연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마치 수신료만 인상되면 공영성이 당장이라도 확보될 것처럼 말하고 있지만 이제까지 공영성이 확보되지 못한 것은 수신료가 낮았기 때문이 아니다.

수신료 인상을 요구하기에 앞서 공영방송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돼야 하며 그러한 결과물들이 국민의 피부에 와 닿아야 한다.

또한 투명한 구조조정에 따른 경영 정상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경제악화로 방송사의 경영상태가 악화됐다고는 하지만 KBS의 경우 수신료 뿐만 아니라 2TV의 광고료까지 합해 타방송사에 비해 그나마 흑자경영을 해 왔다.

이러한 실정에서 재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료를 인상하겠다는 것은 맞지 않다.

방만한 경영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이에 대한 시정 등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한다.

유소연 <서울ymca 시청자시민운동본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