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공공건물 방치해 공유재산관리에 허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16일 오후 민원발급센터로 운영되고 있는 청주시상당구의 옛남주동사무소. 민원서류 발급을 위해 배치된 여직원 1명만이 휑뎅그렁한 건물을 외롭게 지키고 있었다.

이날 찾아온 민원인은 고작 5명정도. 여기서 3백m정도 떨어진 서문동사무소 등 나머지 4개 동사무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충북청주시가 이처럼 기존 공공건물이나 새로 지은 공공건물 등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는 등 공유재산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청주시는 올초 인구 5천명 이하의 과소동을 폐쇄하면서 옛 동사무소 건물에 직원 1, 2명을 배치, 민원발급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1층 한쪽 구석에 마련된 접수창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1년이 다되도록 활용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들 민원센터는 금융기관 등이 민원서류를 다량 발급요청하는 경우도 가끔 있지만 하루 평균 이용자가 10명 안팎 정도여서, 주민편의를 위해서라지만 직원 1~2명이 50평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상주하기엔 비효율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

그러나 시는 주민복지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방침만 세웠을 뿐 적십자사 등 시민.사회단체 등으로부터 재활용품교환센터, 공부방, 여성대상의 취미.교양교실, 실업자 쉼터 등으로 활용하고 싶다는 요청도 외면한 채 아직껏 아무런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또 시는 송정동 솔밭공원에 50억원을 들여 지난7월 준공한 청소년수련관 (연면적1천6백72평) 과 복대동에 3월 완공된 근로자종합복지회관도 최근에 와서야 위탁관리자를 선정해 내년에야 문을 열기로 하는 등 수십억씩 들인 공공시설물을 장기간 방치해왔다.

또한 시는 상당.흥덕구청 지하에 각각 3백여석 규모의 민방위교육 시설이 있는데도 올초 용암동에 민방위회관 건립을 추진하다 예산낭비의 지적이 일자 뒤늦게 공사를 중단하고 설계변경을 했으나 민방위교육 이외의 뚜렷한 활용방안을 찾지 못한 채 곧 공사를 재개키로 했다.

이에 대해 시관계자는 "동사무소 등의 활용계획은 충분한 여론수렴을 거친 뒤에 확정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청주 = 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