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초까지 재벌 순환출자 해소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정부는 재벌 계열사간 순환출자의 고리를 끊어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선단 (船團)형 재벌을 독립된 개별기업 단위로 쪼개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일단 올해중 다른 업종간 상호지급보증을 해소하고 내년말까지 3~4개 주력업종 중심으로 계열사를 재편함으로써 5대 재벌을 소그룹별로 나누고 난 뒤, 2000년 3월말까지는 같은 업종간 상호지급보증을 완전해소하는 것과 함께 순환출자분도 없애도록 해 사실상 '재벌 해체' 를 가시화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8일 "상호지급보증과 마찬가지로 우선 다른 업종간 순환출자분을 맞교환 (swap) 방식으로 없애도록 한 뒤 유예기간을 두어 차차 같은 업종간 순환출자분도 해소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순환출자는 그동안 상호지급보증과 함께 재벌들이 적은 돈으로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돼 왔다" 며 "이에 따라 한 기업이 부실해질 경우 그룹내 다른 기업들도 줄줄이 부실해지는 악순환을 초래해왔기 때문에 순환출자가 없어지지않는 한 완전한 계열사 독립이란 있을 수 없다" 고 설명했다.

정부는 그러나 순환출자를 즉시 법으로 금지할 경우 재벌 계열사들의 자본금이 줄어들어 부채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재무구조가 크게 악화되는데다 소수주주 등의 반발이 뒤따를 수 있어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한 뒤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전윤철(田允喆) 공정거래위원장도 7일 "5대 그룹으로 자금집중이 심화되는 현상을 고쳐나가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가 강구돼야 한다" 며 출자총액 제한제도를 부활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한편, 공정위 관계자는 순환출자 해소방안과 관련,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지주회사를 부분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서구기업들처럼 지주회사를 통한 자회사로의 수직출자만 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