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민단체 등 버스요금 내리기운동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대구의 시민단체.대학생.시의회 등이 지난달 10일 기습인상된 시내버스요금 내리기 운동에 다시금 불을 붙이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한달동안 요금인상이 부당하다며 버스조합측에 거듭 인하를 요구했으나 귀를 기울이지 않자 '실력' 행사에 들어간 것이다.

버스업자들에 대해 시민들이 동시다발적인 '압박' 작전에 들어간 셈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영남대생 2백여명은 6일 오후 경산시대동 학교 정문에서 버스 요금인하와 구간제 요금 폐지 등을 요구하는 '시내버스 요금인하 결의대회' 를 열었다.

학생들은 "버스요금을 즉각 인하하고, 대구시 경계를 넘을 경우 적용하는

구간제 요금을 폐지하라" 고 요구했다.

시의회 의원들도 팔을 걷어 붙였다.

지난 3, 4일 버스업체들의 차고지를 돌며 시내버스 1백51대의 매연 배출여부를 직접 점검했다.

의원들은 "시민 여론에 귀 기울이지 않는 버스업계의 태도를 용납할 수 없다" 고 말하고 "지속적으로 단속하겠다" 며 벼르고 있다.

검찰의 수사도 버스업계에 큰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구지검 특수부는 5일 버스업계를 둘러싸고 각종 잡음이 일자 전면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특히 대구버스조합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 버스증차와 노선 변경때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대구시 공무원에게 돈을 준 혐의를 잡고 수사중이다.

시민여론을 무시하고 요금을 올린 버스업계나 요금 인상을 어물쩍 넘겨 유착의혹을 사고 있는 대구시 모두 타격을 입을 공산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구YMCA.대구경실련 등 시민단체와 버스요금 인상에다 구간제 요금으로 부담이 커진 경산시내 소재 4개 대학 학생 등 2천여명이 오는 26일 오후 시청 광장에서 대대적인 시위를 벌이기로 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대구YMCA 金경민 (37) 회원활동부장은 "대구시가 이번 버스요금기습 인상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시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며 "요금인하와 구간제 요금 폐지등을 강력하게 요구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버스업계는 "요금 인하를 논의할 계획이 없다" 며 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버스조합은 시민단체와 대구시의 반발에도 기름값 인상.적자누적 등을 들어 지난달 10일 일반버스는 10원, 좌석버스는 40원씩 요금을 올렸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