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도청별관 문제 원점으로 돌아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아시아문화전당 건립사업이 옛 전남도청 별관 보존 문제에 부딪혀 장기 표류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옛 전남도청 별관문제 해결을 위한 10인 대책위원회’는 13일 “별관문제 해결방안으로 ‘5월의 문 안’과 ‘3분의 1 존치 안’을 정부에 제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10인 대책위엔 박광태 광주시장과 광주출신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옛 전남도청 별관문제 해결을 위한 10인 대책위원회’가 정부에 제시한 ‘5월의 문 안’(上)과 ‘3분의 1 존치 안’(下) 개념도.


이들이 제시한 5월의 문 안은 길이 54m, 4층 높이의 별관 중 1·2층 일부를 뚫어 터널식 입구를 만드는 방안이다. 3분의 1 존치 안은 5·18 당시 시민군이 머물렀던 공간을 최소한 보존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안은 지난달 말 12개 시민 사회단체 대표로 구성된 ‘시민사회 원탁회의’가 10인 대책위에 절충안으로 제시했었다.

10인 대책위의 간사인 박광태 광주시장은 “지역 여론을 대표하는 국회의원과 시장이 그 동안 각계의 의견을 모아 제시한 만큼 정부는 2개 안 가운데 1개 안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들 방안에 대해 수용 불가 방침을 밝혀 옛 도청별관 문제는 원점으로 되돌아 갈 가능성이 커졌다.

이병훈 문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장은 “10인 대책위가 내놓은 두 가지 안은 이미 오랫동안 검토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설명을 해 왔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추진단의 다른 관계자는 “별관을 보존하도록 설계를 바꾸는 것은 5·18정신을 부각시킨 전당의 설계개념을 망가뜨리는 것”이라며 “10인 대책위가 일부의 주장을 그대로 채택해 앞으로 협상이 더 어려워졌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협의회 관계자는 “10인 대책위가 그 동안 문화전당 설계 공모 때부터 진행된 절차와 과정을 송두리채 무시하고 한쪽의 주장 만을 받아들임으로써 오히려 사업 표류 우려만 높였다”고 지적했다.

아시아문화전당 사업은 5·18 관련 단체가 지난해 6월부터 별관 보존을 요구하며 농성을 벌이는 바람에 공사가 지연돼 공정이 8%에 머물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별관을 철거하고 38% 정도 이뤄져야 한다. 추진단 측은 도청 별관사태 해결책으로 법원의 강제집행명령을 앞세운 공권력 사용을 검토했으나 지역사회에서 논의가 진행 중인 데다 광주시가 반대하는 공사를 추진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