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포함 16개 사이트에 2차 공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가정보원은 지난 7일 청와대와 국방부 홈페이지 등 한·미 26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북한 또는 북한 추종세력에 의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오후 국회 정보위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정보위 관계자는 “국정원은 북한이 사이버 도발을 할 것이란 여러 징후를 포착하고 이번 공격에 대비했지만 공격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도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이 지난달 26일 미국의 사이버 위협 대응 훈련인 ‘사이버 스톰’에 대해 강도 높은 비난 입장을 내놨다”며 “이것이 이번 디도스 공격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국정원은 북한이 이번 공격에 개입했다는 구체적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국정원이 현 정권의 남북대결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성급한 발표를 한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검찰과 경찰은 악성코드 배포자와 진원지를 추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노승권 첨단범죄수사2부장은 “국내 2만3000여 대와 해외 2000여 대의 컴퓨터가 사이버 테러에 동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고 말했다.

검경 수사 결과 서울 동대문구의 한 케이블 방송이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PC의 대부분이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이 지역의 한 가정집 PC를 확보해 악성코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청와대 ·국방부 ·네이버 등 12개 국내 사이트와 백악관 ·국무부 등 14개 미국 사이트에 대해 7월 7일 오후 7시 공격하라는 명령이 숨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김재규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장은 “이번 악성코드는 감염 컴퓨터 스스로 공격을 시작하도록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업그레이드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의 신화수 이용자보호팀장은 8일 “1차 공격 대상이던 6개 사이트와 1차 대상이 아니었던 국정원·국민은행 등 10개의 새로운 사이트에 대한 2차 공격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 소행으로 추정된다는 언론보도 직후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앞으로 추가 공격이 있을 것으로 보고 대비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이나리·이철재·선승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