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학논쟁]비평권력의 '야합' 우리 문학 망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비평의 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홍정선씨가 '문학과사회' 여름호에 비평가의 자질을 논한 글에서 촉발된 논쟁이 본지를 통해 격화되고 있다.

강형철.홍정선.권성우씨로 이어지는 반론과 재반론에서 권위주의.폐쇄주의 비평과 무한대로 열린 아마추어 비평이 쟁점으로 떠올랐다.다시 신철하씨가 홍씨의 글에 대한 반박과 함께 권력지향형 비평계의 구조적 모순을 지적한 글을 보내와 싣는다.

홍정선씨의 문건에서 발단된 논쟁을 차분히 지켜봤다. 홍씨의 조악한 변명을 보고 비평에 참여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 오히려 측은한 심경이다.

취중객담 정도의 잡문이 비평의 이름으로 대화적 지성과 반성적 성찰을 침이 마르도록 강조하는 '문학과사회' 의 특집기획으로 실렸다는데 필자는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분명히 말하겠다. 문제의 발단이 된 홍씨의 문건은 명백히 현단계 비평 (문학) 의 쟁점을 호도하고 있다.

그 (들) 는 "현재의 한국문학을 어떤 각도에서의 '빈곤' 으로 판단하고 있는지? 그 빈곤이 특히 비평에서 심각하다고 하는데, 그 실체가 무엇인지?" 를 전혀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필자는 한국비평의 성숙을 위해, 또 생산적 대화 (?) 를 위해 우선 다음 사항만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첫째, 홍씨의 글은 그가 관여하는 잡지의 특집기획으로 제출되었다. 그 기획의 구체가 동인들 사이의 나쁜 담합 (패거리주의)에 근거한 것인지, 단순히 홍씨 개인의 저질 한탕주의의 결과인지에 대한 의혹이다.

지면 관계상 자세히 밝힐 수 없지만 필자는 이와 관련된 몇가지 혐의를 갖고 있다.

둘째, 홍씨의 이번 문건이 갖고 있는 전면적인 자기모순과 반비평 태도다.

그는 비평이 갖추어야할 중요한 덕목으로 치밀한 독서, 논리성, 교양과 상식의 풍부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 자신이 치밀한 독서와 그를 바탕으로 문학만이 갖는 고유한 논리적 사유를 통한 문학적 진정성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글을 전혀 제출한 적이 없다 (그의 '모든' 비평문과 잡문 형태의 문건을 검토한 후의 판단이다) .

또 이번 글에 나타난 그의 비논리는 징발한 내 글을 자세히 읽지 않았다는 명백한 증거들을 무수히 자인하는 꼴이다.

가령 그는 필자를 '진보주의자' 로 규정하고 있는데, 도대체 그 말뜻을 제대로 알고 쓴 것인지, 그렇다면 어떤 논리적 근거에 의해 나온 것인지가 생경할 따름이다.

더욱 가관인 것은 필자의 글 중 한 지문을 편의에 따라 왜곡하기도 한다는 점 ( '거리를 둔' 을 '거리가 먼' 으로) , 그가 비평의 덕목으로 강조하는 문장구성 능력과 비문의 문제가 바로 그 자신의 악문에서 수다한 비문과 비논리와 반교양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 등이다.

하나만 맛보기로 지적하면 '설화에서 무학대사의 왕십리는 십리만 더 가면 궁궐터가 있다는 말이었다' 의 지문은 비문이다.

다음, 홍씨는 교양과 상식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가 강변하는 교양이란 글줄을 자세히 따라가보면 저급한 엘리티즘이거나 조악한 잡식의 다른 이름으로 드러난다.

셋째, 비평권력의 왜곡된 생존사슬로 인한 심각성이다. '잡지 - 패거리 - 저널리즘의 야합' 을 통해 연출하는 추악한 권력게임이 한국문학을 볼모로 마침내 비평의 퇴행, 한국문학 전체의 퇴행을 심각하게 우려하게할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말하자면 홍씨의 이번 문건은 그런 문제들의 누적 속에서 돌출한 반비평의 전범에 해당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