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BIS 보고서]“아시아경제 더 나빠질 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로 국제적 자금흐름의 양상이 바뀌고 있으며 아시아 경제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스위스 바젤에 본부가 있는 국제결제은행 (BIS) 은 8일 연례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유로 출범으로 전세계 산업 전반에 근본적인 재편 압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고 지적했다.

다음은 보고서 요지.

◇아시아 위기 언제까지 계속되나 = 아시아 각국의 통화.자산가치 폭락으로 인한 손실은 근래에 없던 예상 밖의 일이다.

그러나 아시아 경제가 최악의 상황을 지났다고 말할 수 없다. 이번 사태로 각국 기업과 이들에게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이 얼마나 큰 손실을 입었는지 분명치 않기 때문이다. 위기로 인한 사회적 충격까지 감안하면 아시아 경제의 하강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여신 증가율 ▶금융감독 미흡 ▶자산가치의 거품화 ▶경직된 환율체계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국가의 국내 정책이 잘못돼 문제가 초래됐다는 식으로 단순하게 접근해서는 안된다.

◇자금 흐름의 변화 = 예전에는 한해 1천억달러 가량이 아시아로 유입됐으나 지난 96년과 97년 상반기에는 비슷한 규모의 자금이 아시아를 빠져나갔다.

특히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비 (非) 은행계 금융기관에 대한 국제 금융계의 여신이 무려 90억달러 이상 줄었다.

반면 아시아에서 빠져나간 돈은 1백50억달러 이상 증가했다. 이는 투기자금의 활발한 이동과 함께 자본의 해외도피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제 금융계의 책임문제 = 아시아 위기는 2차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은행에 대해 민간부문이 주요 채무자로 전락했음을 확연히 보여준 케이스다.

이 때문에 국제 금융계의 책임문제도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자본 이동규모가 엄청나게 불어난 상황에서 '도덕적 해이' 를 피하려면 보다 효율적인 책임분담책이 모색돼야 한다.

◇파생금융상품 거래 붐 = 지난해에는 금리의 급등.급락과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피하기 위해 다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또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보다 빨리 대응하기 위해 장외거래가 전년보다 11% 가량 늘어나 총거래액이 3백57조달러 규모에 이르렀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