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전대통령 대선자금 공개파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3천1백76억원에 달하는 '92년 YS대선자금' 내역의 돌출에 정치권은 당혹해 한다.지난해 대선전 'DJ 비자금' 소동과 맞물리면서 사실상 여야가 '덮는 쪽' 으로 정리해둔 사안이다.

8일 이 문제가 새삼스레 다시 터져나오자 국민회의.자민련.한나라당 3당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그러나 다같이 사태의 확대는 바라지 않는 눈치다.

국민회의는 '정치쟁점화 불가'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김근태 부총재는 "사안이 확대되면 정치적 안정은 깨지고 결국 국민적 화합을 거스르게 된다" 고 이유를 설명했다.

정략적으로도 득 될 게 없다는 시각이다.김영삼 (얼굴) 전대통령에 대해 공세입장을 취할 경우 지역갈등이 불거져 지방선거에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 등이다.

'YS 배후설' 이 거론됐던 국민신당과의 연합공천 문제도 있다.'DJ 비자금' 이 덩달아 공론화될 수 있다는 것도 의식하는 듯하다 공동 여권인 자민련만은 비공식 논평을 통해 "한나라당과 金전대통령 스스로 자금 출처.사용내역을 밝히고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 는 입장을 보였다.그러나 총리임명동의 등 현안이 있어 한나라당을 자극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한나라당은 언론을 이용한 여권의 야당 죽이기라고 발끈했다.당 간부들은 "정치보복 시리즈의 하나" 등으로 비난하며 여권이 이를 계속 문제삼을 경우 국회차원에서 당시 김대중후보측의 선거자금도 함께 조사할 것을 요구한다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다만 문제가 확대되면 지방선거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아래 역시 조기수습을 바라는 분위기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