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조순총재 재추대 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당권을 둘러싸고 분당 (分黨) 론까지 나오던 한나라당의 내분이 적어도 6월 지방선거 때까지는 봉합될 것같다.당권파와 비당권파는 4일 당무운영위에서 격론끝에 4.10 전당대회에서 조순 (趙淳) 총재를 재추대하되 차기 전당대회까지 비당권파가 부총재단.당직 등 지도체제에 상당부분 참여하는 방향으로 의견접근을 이뤘다.

논란을 빚어온 총재경선 (차기 전당대회)에 대해 당무운영위는 당권파의 요구대로 '6월 지방선거 이후 내년 4월10일 이전' 에 실시하기로 했다.당무운영위는 대신 비당권파의 주장을 수용해 대의원 3분의1 이상의 요구가 있으면 내년 4월10일 이전이라도 전당대회를 열 수 있도록 했다.

양 (兩) 세력은 4.10대회에서 대표위원 (현재 李漢東) 을 없애고 총재와 총재가 지명해 전당대회의 동의를 얻는 9인이내의 부총재단으로 구성되는 단일지도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부총재에는 1인이상의 여성을 반드시 두도록 했다.

부총재에는 일단 당권파에서 李대표.이기택 (李基澤) 고문, 비당권파에서 김윤환 (金潤煥) 고문과 부산민주계 대표 (辛相佑고문 또는 朴寬用의원) , 중도파에서 김덕룡 (金德龍) 의원이 거론된다.회의는 비당권파인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의 당무 관여와 위상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했다.

양측은 막후협상에서 4.10대회 이후 구성될 당무회의나 6월초 국회직 인선에서도 지분을 나눠갖기로 의견을 접근시켰다.비당권파가 맡겠다고 요구하는 사무총장 부분은 조정여부가 불투명하다.

한나라당의 잠정적인 내분봉합은 국민회의.자민련 공동정권처럼 거대야당도 당권파.비당권파의 연합체제가 등장한 것을 의미한다.

4.2 재.보선에서 완승한 기세에다 내분이 잘 수습되면 당은 당분간 여권의 정계개편 공세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갈등은 잠복한 것이지 없어진 게 아니다.

한나라당은 당의 간판이라는 지도력의 문제를 계속 안고 있으며 만약 6월선거에서 참패한다면 이 고질 (痼疾) 은 다시 악화돼 당을 뒤흔들 것이다.의원들이 탈당하는 등 동요가 발생할 가능성은 충분하기 때문이다.

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