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뉴딜’ 정책 수혜 기업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15호 28면

‘녹색’ 열풍은 한반도에만 부는 지역풍이 아니다. 지구촌 일대에 부는 바람이다. 미국도 향후 10년간 그린 에너지 산업에 1500억 달러를 투자해 일자리 500만 개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국내에서 특히 녹색 바람이 거센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때문이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경기 불황을 타개하며 장기 경제 성장동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해결책을 ‘녹색 뉴딜’에서 찾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축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 비전을 제시했다.

올 2월에는 청와대 직속으로 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후 중앙 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녹색 뉴딜 관련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녹색뉴딜의 수혜 산업으로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부문이다. 태양광은 동양제철화학·소디프신소재 등이 대표적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풍력 부문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장 인정받는 분야다. 특히 조선 부품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태웅·평산·현진소재 등 풍력 부품주는 이미 코스닥 시장에서는 대장주 대접을 받고 있다.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에너지원인 원자력과 관련해서는 두산중공업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기존 조명에 비해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수명이 길어 친환경적인 발광다이오드(LED) 관련 산업도 성장이 기대된다. 삼성전기·서울반도체 등이 대표적이다.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 관련 주로는 LS산전·효성이 꼽힌다.
하이브리드카와 관련해서는 2차전지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LG화학에 대한 기대가 크다. 또 정부가 친환경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으로 추진 중인 4대 강 살리기 및 주변 정비 사업과 관련해서는 현대건설·계룡건설 등이 수혜 기업으로 거론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