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시를 걷다, 어제를 만나다 ③ 강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강릉 글·사진=손민호 기자

오죽헌 주변에 자라고 있는 오죽(烏竹)

[1] 허균·허난설헌 기념관 초당동에 있다. 순두부로 유명한 동네다. 초당(草堂)은 허균(1569~1618)과 허난설헌(1563~89)의 아버지 허엽(1517~80)의 호다. 생전의 초당이 동네 주민에게 해수로 두부를 빚어 먹으라 한 게 초당 순두부의 기원이다. 초당동 솔숲에 조선 최고 여성시인으로 통했던 허난설헌 생가가 있고, 그 옆에 허균·허난설헌 기념관이 있다. 기념관에선 이들 남매의 작품을 꼭 찬찬히 읽어 보시라. 『홍길동전』을 지을 수밖에 없었던 허균의 깊은 시름을 읽을 수 있고, 허난설헌이 왜 제일의 여성시인인지 알 수 있다.

[2] 홍장암 바위에 얽힌 사연이 재미있다. 고려 말 강원도 안찰사 박신이 강릉기생 홍장과 정분이 났는데, 다른 지역을 순찰하고 돌아온 박신이 홍장을 찾았더니 강릉부사 조운흘이 놀려줄 생각으로 “홍장이 밤낮 그대를 생각하다 죽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사랑을 잃은 박신이 앓아 누우니 조운흘이 “경포대에 달이 뜨면 선녀들이 내려오니 홍장도 내려올지 모른다”며 박신을 경포로 데려갔다. 그랬더니 물안개를 헤치고 홍장을 태운 배가 나타났다. 월하의 경포가 그만큼 신비로운 풍경을 자아낸다는 뜻이겠다.

1. 선교장 입구에 있는 활래정 2. 애틋한 전설이 내려오는 홍장암 3 .선교

[3] 경포대 경포 북쪽 언덕 위에 있는 정자(亭子)다. 1326년에 지어졌고 1962년 보수됐다. 옛 선비들은 정자를 논할 때 그 놓인 자리를 가장 중요시했다. 경포대가 관동팔경의 제1경으로 꼽히는 이유다. 경포는 정자의 호수다. 호수를 둘러싸고 경포대·해운정·금란정 등 정자 13개가 숨바꼭질 하듯 숨어 있다.

경포대가 있는 언덕에 신사임당 동상이 있다. 그가 태어난 오죽헌이 지척에 있는데 왜 여기에 동상이 있을까. 박정희 전 대통령이 생전에 경포대와 신사임당을 좋아했다는 게 이유란다. 경포대 현판과 신사임당 동상 정면의 글씨 모두 박 전 대통령이 쓴 것이다. 신사임당 동상 옆엔 한국전쟁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69년 세운 충혼탑이 있다. 자, 다시 보자. 경포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양반들이 기생 불러놓고 풍류를 즐기던 경포대가 있다. 그 왼쪽에 한국의 모성을 상징하는 신사임당 동상이 있고, 다시 그 왼쪽에 충혼탑이 있다. 참으로 기묘한 동거다.

경포대 아래에 강릉향교가 2004년 세운 시비가 있다.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人生遠慮 難成大業)’고 쓰여 있다. 언덕 위의 생뚱한 풍경과 기가 막히게 맞아떨어지는 구절이다.

[4] 선교장 최초로 국가 문화재로 지정된 민간 주택이다. 조선 시대 왕이 아닌 신분으로 지을 수 있는 최대 규모인 99칸 한옥이다. 조선 시대 효령대군 11대손 이내번이 지었고, 300년이 지난 지금도 그 일가가 살고 있다. 옛날엔 이 앞까지 호수 물이 들어왔단다. 하여 집 앞에 다리를 놓았고, 이후로 저택 이름에 ‘배다리’, 즉 ‘선교(船橋)’가 붙었다.

눈여겨볼 건물이 몇 채 있다. 연못가에 놓인 활래정. 온돌까지 들여놓은, 당시로선 초호화 시설의 정자다. 사랑채로 쓰인 열화당. 출판사 ‘열화당’이 바로 이 집안이 운영하는 출판사다. 조선 시대 사대부 사이에서 금강산 유람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한양에서 금강산 가는 길목에 강릉이 있었고, 이곳에 들른 사대부들은 선교장 사랑채에서 한동안 머물렀다. 하나 지금의 열화당은 어색한 모습이다. 건물 정면에 설치한 서양식 테라스 때문이다. 아관파천 직후 러시아가 위세를 떨치던 때 러시아 공사가 열화당에 머문 적이 있었다. 테라스는 그 답례였다. 철거하려다 이것도 역사라 판단해 남겨두고 있다. 입장료 어른 3000원. 한옥체험도 가능하다. 033-646-3270.

경포대 공원에 있는 신사임당 동상(左), 경포대에서 바라본 경포 호수의 모습. 선조의 풍류가 느껴진다(右).

[5] 오죽헌 검은 대나무[烏竹]가 많아 오죽헌이다. 율곡 이이(1536~84)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1504~61)이 태어난 곳. 서울로 시집갔던 사임당은 홀로 계신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친정에 내려왔다가 오죽헌 몽룡실에서 율곡을 낳았다. 정문이 자경문(自警門)이다. 문 전체가 시멘트로 그 위에 울긋불긋 단청을 입혔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의 유물이다. 오죽헌 뒤에 어제각이 있다. 정조가 율곡이 쓰던 벼루와 『격몽요결』을 소중히 간직하라고 명하자 이를 모신 누각이다. 현판이 두 개 있는데 안쪽 현판의 ‘어(御)’자가 다른 글자보다 높이 있다. 임금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최근 오죽헌 방문자 수가 크게 늘었다. 모자가 ‘지폐 모델’이 된 덕분이다. 그래서 강릉시는 신사임당 동상을 오죽헌 안에 또 세웠다. 한 도시 안에 한 인물의 동상이 두 개 있고, 두 동상의 얼굴이 너무 다른 건 놀라웠다. 5000원권 지폐에 그려진 율곡의 초상화는 오죽헌 안 문성사에 있는 표준 영정이 아니다. 표준 영정이 정해진 연도보다 율곡 초상이 5000원에 그려진 연도가 더 일러서다. 오죽헌 안에 강릉시립박물관이 있다. 입장료 어른 3000원.

여행정보 강릉은 기대 이상으로 문화유산 관리가 잘 돼 있다. 주요 유적지마다 문화해설사가 상주한다. 지면 사정으로 경포 주변에서 김시습기념관이 빠졌지만 꼭 가보시라 권한다. 산책하듯이 경포를 한 바퀴 돌면 한 시간 정도, 여기서 소개한 장소를 들르며 돌면 서너 시간 정도 걸린다. 자전거(2000원)를 빌릴 수도 있다. 24~30일 남대천 일대에서 강릉 단오제가 열린다. 역사와 전통, 그리고 규모에서 여느 지방축제와 차원이 다르다. 강릉 종합관광안내소 033-640-4414, 강릉단오문화관 033-640-4951.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