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대 대선]이회창-김대중 전야까지 0.1%차 혈전,선거기간중 본지 여론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지난 11월26일부터 12월17일까지 중앙일보의 조사결과는 1, 2위 주자간의 살얼음판 승부양상을 그대로 보여준다.

단순지지도에서는 김대중 국민회의후보가, 판별분석에서는 이회창 한나라당후보가 각각 미세하게 앞서 선두를 장담할 수 없었다.

선거 D - 1일인 17일 김대중.이회창후보와 이인제 국민신당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36.7%, 36.6%, 18.1%였다.

기타 후보 1.5%, 부동층은 7.1%. 김대중후보와 이회창후보의 격차는 허용오차 범위 (±2. 17%) 보다 훨씬 작은 0.1%포인트에 불과했다.

한편 부동층에 대한 판별분석과 연령별 예상투표율 (전체 81.8%예상, 20대 71.6%, 30대 83.4%, 40대 88.8%, 50대 89.8% 예상) 을 적용한 결과 이회창후보 40.1%, 김대중후보 39.2%, 이인제후보 19.1%.이회창후보가 金후보를 0.9%포인트 앞서 판세예측을 더욱 힘들게 했다.

결국 선거 하루전까지도 선거결과에 대해 한치앞도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1, 2위가 팽팽히 맞선 셈이다.

따라서 선거결과는 '지역별.연령별.성별 투표율의 차이' 와 여론조사에서 잡히지 않는 75만명의 부재자표 향방, 사표방지심리의 작동여부가 최대 변수로 등장한 것이다.

또한 누가 이기더라고 압도적인 표차는 기대하기 힘든 것으로 전망됐다.

중앙일보는 여론조사결과의 공표금지 이후 2~3일 간격으로 전국 유권자 2천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해왔다.

각 조사의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2. 7% 내외였다.

이 기간중 매주 1위가 바뀔 정도로 김대중후보와 이회창후보는 엎치락 뒤치락했다.

11월 중순 이후 이인제후보의 지지율이 30%이하로 떨어지는데 반비례해 이회창후보의 지지율은 상승했다.

11월18일을 기점으로 이회창후보 28.1%, 이인제후보 27.9%로 역전됐다.

이후 이회창후보의 지지율은 급상승세를 보여 11월26일에는 이회창후보 36.2%, 김대중후보 34.1%로 李후보는 그간 1위를 계속적으로 고수해 왔던 金후보까지 따라잡는 기세를 보였다.

그러나 李후보의 기세는 '경제실정론' 공방이 벌어지자 다시 꺾이고 말았다.

12월1일의 '1차 TV합동토론회' 직후인 2일의 조사에서는 다시 김대중후보가 34.7%로 34.0%인 이회창후보를 앞서기 시작했다.

이후 '국제통화기금 (IMF) 구제금융' 정국은 金후보의 지지율 상승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유권자들의 피부에 경제위기의식이 와닿기 시작한 것이다.

12월5일에는 김대중후보 36.7%, 이회창후보 32.0%로 1, 2위간 지지율차가 4.7%포인트로 벌어졌다.

뒤이은 7일의 2차 TV 합동토론은 金후보와 李후보의 지지율차를 더욱 벌려 놓았다.

金후보의 'IMF재협상론' 은 당시 시점에서는 유권자의 상한 자존심을 살려주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이때 金후보 지지율은 38.6%, 李후보는 31.2%였다.

지지율차는 7.4%포인트. 법정선거운동기간중 金후보가 李후보를 가장 많이 따돌린 순간이었다.

이런 두후보의 각축전 와중에도 이인제후보는 21%내외의 지지율을 꾸준히 유지해 더 이상의 하락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경제실정론과 IMF해법에 대한 金후보의 이슈 선점 (先占) 으로 승리가 거의 굳혀지는 듯하던 시점에 외환부족위기와 함께 터진 'IMF재협상 발언시비' 는 판세를 다시 급반전시켰다.

이회창후보가 金후보의 발언을 붙잡아 전면 광고전을 벌이는 등 역공을 펴자 그 효과는 11일 조사에서 즉각 반영됐다.

이 때 金후보 지지율은 36.8%, 李후보는 35.5%로 지지율차가 불과 1.3%포인트로 좁혀졌다.

두 후보간의 'IMF재협상' 공방은 14일의 3차 TV합동토론회에서 金후보에게 결정적인 상처를 입혔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날인 15일 조사에서 金후보는 35.3%, 이회창후보는 34.8%로 0.7%포인트차로 좁혀졌다.

급기야 16일 판세는 역전됐다.

李후보가 36.6%로 34.4%를 얻은 金후보를 2.2%포인트 따돌린 것이다.

그러나 선거 하루전 이인제후보의 지지율이 18.1%로 떨어지자 판세에 미묘한 변화가 다시 일어났다.

金후보가 36.7%로 다시 올라 李후보 (36.6%) 와의 지지율차는 불과 0.1%포인트가 됐다.

김행 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