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씨 보석 정치권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의 차남 현철 (賢哲) 씨에 대한 법원의 보석결정에 대해 청와대는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여야는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 는 원론적 입장을 밝혀 이 문제에 관한 정치권의 사전 공감대가 형성됐음을 보여줬다.

민주당만이 金대통령과 김대중 (金大中) 국민회의총재간의 밀실흥정 의혹을 제기하며 부적절한 보석이라고 반박했을 뿐이다.

◇ 청와대 = 金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孫命順) 여사가 오후1시30분 아들을 보려고 구기동 현철씨 집으로 가는 부산함을 보였다.

반면 비서실은 여론을 의식한 듯 차분한 표정이었으며 한결같이 "현철씨 석방과 金대통령과는 무관한 일" 이라고 주장했다.

주무 참모인 문종수 (文鐘洙) 민정수석은 이해순 (李海淳) 의전수석을 통해 金대통령에게 '석방 사실이 있었다' 고 간략한 실무 보고만 했다고 한다.

金대통령은 특별한 반응없이 담담했다고 참모들은 전했다.

고위 당국자는 "검찰단계까지는 DJ비자금 수사처럼 여론을 의식해 정치적 고려가 있을 수 있지만 법원은 독자적으로 판단한다" 고 강조했다.

한 당국자는 "검찰이 무리한 기소를 한 측면이 분명히 있다" 며 "증거인멸이나 도주우려가 없어 보석사유가 충분하다고 본다" 고 강조했다.

그러나 부친인 홍조 (洪祚) 옹의 손자에 대한 사랑등으로 金대통령은 임기중 결론을 내야한다는 점에 시달렸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관측이기도 하다.

향후 현철씨 거취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은 "정치에 전혀 관여하지 않을 것이며, 근신할 것" 이라는 것이다.

◇ 여야 = 신한국당 이사철 (李思哲) 대변인은 "비자금 수수와 조세포탈 혐의로 재판을 받던 현철씨에게 보석을 허가한 것은 같은 혐의로 고발되고도 수사착수도 하지 않은 김대중총재 경우와 형평성에 비춰 당연하고도 적절한 조치" 라고 가시담긴 논평을 했다.

국민회의와 국민신당 (가칭) 은 이례적으로 공식논평조차 내지 않았다.

"사법부가 법과 절차에 따라 결정했을 것으로 본다" 며 정치적 의미를 달지 않았다.

그러나 민주당은 "엄정하고 공정한 법집행과 대통령 주변인물들의 부당한 국정개입과 지은 죄를 국민에게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라도 보석결정은 거부됐어야 했다" (박연찬 부대변인) 고 반대했다.

박보균.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