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문가 20명 팩트체커 활약 … 추측·과장·왜곡 보도 걸러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앙일보에 실린 내용은 믿을 수 있다’.

베를리너판으로 새 출발하면서 중앙일보가 내건 최상의 가치는 ‘신뢰’다. 하지만 신뢰는 구호나 각오만으로 결코 얻어지지 않는다. ‘추측’ ‘과장’ ‘왜곡’ ‘부실’을 배격하고, 반드시 확인된 정보와 정확한 팩트, 일관성 있는 시각으로 콘텐트를 만들어 내는 노력이 독자로부터 인정받을 때 비로소 훈장처럼 주어지는 것이다.

중앙일보는 베를리너판 전환에 앞서 국내 언론 최초로 편집국에 팩트체커(Fact Checker) 제도를 만들었다. <본지 3월 12일자> 경력 20년 이상의 베테랑 기자 3명이 편집국 기자들이 쓴 기사의 진실성과 정확성을 지면 게재에 앞서 면밀히 검증하고 있다. 데스크나 에디터가 기사라는 건축물의 시공 책임자라면 팩트체커는 감리책임자인 셈이다.

특히 기자가 아닌 독자의 시각과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도 차이점이다. 팩트체커에 의해 잘못이 발견된 기사는 아무리 큰 특종이라도 출고되지 않는다.

여기에 더해 중앙일보는 16일 분야별 전문가 20명으로 사외 팩트체커 그룹을 구성, 출범했다.

정치·외교·통일안보·경제·산업·법조·노동·의료복지·국제·대중문화·문학·공연예술·스포츠·미디어 등 분야의 내로라하는 명망가 20명이 참여하고 있다.

베테랑 기자들과 이들 분야별 고수의 내공을 동원한 2중·3중의 기사 검증시스템이 가동을 시작한 것이다.

사외 팩트체커들은 신문에 실린 담당 분야의 기사를 전문가의 눈과 깊이로 검증한다. 이들이 발견한 잘못된 팩트, 왜곡된 시각, 법적·윤리적 하자 등의 오류는 곧바로 중앙일보의 ‘바로잡습니다’ 난을 통해 정정된다. 필요한 경우 사외 팩트체커가 직접 집필하는 확대판 ‘바로잡습니다’도 예정돼 있다. 즉, 중앙일보 기사는 지면 제작 전후로 안팎에서 촘촘하게 걸러지는 셈이다.

중앙일보의 팩트체커 시스템은 기존 언론들이 지면 검증을 위해 운영해 온 심의실(내부)이나 독자위원회(외부) 등의 제도와는 차별화된다.

심의실이나 독자위원회 등은 주로 지면이 나온 후 사후 검증과 품평 위주로 운영돼 왔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신문 제작 전후 과정에서 기사를 체크하고 잘못된 사항을 곧바로 수정하거나 정정 기사로 반영한다는 점이 다르다.

경제분야의 사외 팩트체커 이정조 리스크컨설팅코리아 대표는 “정보의 보고인 신문의 생명은 역시 ‘신뢰’다. 특히 현장의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기사를 바로잡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온갖 소문·추측·가설·괴담이 난무하는 정보 과잉시대에 ‘믿을 수 있는 정보만을 싣겠다’는 중앙일보의 약속은 이렇듯 사내·외 팩트체커시스템이라는 강력한 내부통제 장치를 통해 실현될 것이다.


이재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