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 권한강화 대법판결 의미]저당권 앞서 입주해야 효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주택 임차인이 경매후 배당과정에서 전세보증금을 일부 변제받았더라도 나머지 금액을 낙찰자로부터 전부 돌려받을 때까지는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된다는 대법원 판결 (본지 9월2일자 23면 보도) 은 세입자의 권한을 강화하고 하급심에서의 엇갈린 판결을 바로잡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임차인의 전세보증금을 보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번 사건의 세입자는 선순위 저당권보다 앞서 입주와 전입신고를 해 낙찰자에 대해 대항력을 갖췄으며 소액보증금으로서 최우선변제권이 있었다.

이런 임차인은 ▶배당에 참여하지 않은 채 계약기간에 거주하고 만료후 낙찰자로부터 보증금을 전액 받고 나갈 수 있는 권리와▶배당에 참여해 우선변제로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사건 임차인은 이중 배당을 선택했다.

배당에서 우선 소액 임차인으로서 보증금 1천5백만원중 5백만원을 최우선변제받았으나 나머지 1천만원은 확정일자를 저당권 설정일보다 뒤늦게 받아둔 바람에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이 경우 배당쪽을 선택했으므로 전액변제 여부에 관계없이 배당금 5백만원을 받기 위해선 먼저 낙찰자에게 집을 비워줘야 했다.

그러나 이번 대법원 판결은 두가지 권리를 동시에 행사함으로써 전액 변제받을 수 있는 길을 터놓았다.

즉 대항력을 갖추면 배당에 참여하더라도 배당에서 받지 못한 나머지에 대해 낙찰자로부터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저당권보다 뒤에 입주와 전입신고를 한 대항력 없는 임차인은 확정일자에 의한 우선변제권으로 배당에 참가해 순서에 따라 변제받을 수 있을뿐 낙찰자에겐 여전히 한푼도 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수 없다.

강서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