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회사 운영실태.교통량 실사작업에 민간단체 참여 형식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시내버스 요금 인상폭 결정을 위한 버스회사 운영실태와 교통량 실사작업에 민간단체를 참여시킬 것이라는 광주시의 당초 계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시는 지난 6일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9개 시내버스회사의 원가계산서를 비롯한 법인 장부등 경영실태와 교통량 조사를 의뢰했다.

광주 녹색소비자연구원은 이에 따라 23일 요금 인상폭 결정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경영실태 조사에 시민.단체를 배제시켜 실사방법과 절차에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또 77개 노선별 탑승인원과 수입금 평균치를 파악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하루 17시간)도 1개 시민단체를 3시간동안만 참여시켜 형식적이었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이와함께 오는 27일부터 3일동안 실시할 교통량 조사 기간도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선 1주일 정도로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서울의 경우 시내버스 요금 인상과 관련,올해부터 6개 시민단체와 변호사.교수.공인회계사등이 참여한 요금검증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원 김성희원장은“서울시의 경우 6개 시민단체와 변호사.교수.공인회계사등이 참여한 요금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요금 실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도 광주시는 시민단체 참여를 배제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원가계산 전문기관에 버스요금 산정을 위한 실사를 맡겼다”며“교통량 조사기간 연장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광주 시내버스운송조합은 지난 2월24일 광주시에 현행 일반인 버스요금 3백60원을 4백50원으로,학생은 2백70원에서 3백60원으로 각각 인상한 요금조정신청안을 제출했다. 〈광주=구두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