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질병모니터망 제구실 못해 독감등 전염병에 무방비 노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지방자치단체들이 전염성이 강한 질병 발생사실을 시민들에게 제때 알리지 않아 독감등 전염병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시.군에 조직된 질병모니터망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보건복지부의 급성전염병 관리지침에 따라 시내 학교,내.외과의원,약국,장의사등과 질병발생을 체크할 수 있는 양호교사.의사등 3백54명을 질병모니터 요원으로 지정해 놓고 있다.

시는 이들이 콜레라.장티푸스등 법정전염병을 발견했을 경우 즉시 보고토록 하고 감기.풍진등 질병도 알려주도록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감기.풍진등은 물론 법정전염병도 제때 보고하지 않는데다 방역담당 부서도 발생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해 질병 확산을 미리 막지 못하고 있다.

법적인 의무가 없는 것도 이들의 무관심을 조장한다.

현행 전염병예방법 제4조에는 의사.한의사가 법정전염병 환자를 진단했을 경우 신고토록 의무화하고 있을뿐 다른 모니터요원들에게는 보고의무를 지우지 않고 있다.

대구에는 지난주초께부터 병원마다 B형 독감환자가 줄을 잇고 있으나 시는“모니터 요원들의 보고가 없었다”며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또 최근들어 종합병원마다 법정전염병인 수막염환자들이 늘고 있으나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7월부터 9월까지 수막염이 기승을 부렸으나 시는 나중에야 이 사실을 확인하는데 그쳤다.

포항시도 2백명의 질병모니터 요원이 있지만 최근 크게 번진 B형 독감을 제때 확인하지 못했다.이 때문에 지난주초부터 B형 독감이 급격히 번져 지난달 29일에는 포항시내 60개 학교 1백88명이 독감에 걸려 집단결석까지 했다.

포항시측은 그러나“독감은 법정전염병이 아니어서 알리지 않았다”는 궁색한 변명만 늘어 놓고 있다. 〈대구=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