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건설·조선 구조조정 ‘속도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내년 초부터 건설과 중소 조선업계에 구조조정의 칼바람이 몰아칠 전망이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3일 “건설업체와 중소 조선사에 대해 내년 초부터 구조조정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두 업종이 금융 불안과 실물경기 침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업종이어서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구조조정 대상은 금융회사의 대출액이 500억원 이상인 건설업체와 26개 중소 조선업체다.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이날 은행연합회 산하에 두 개 업종의 ‘신용위험평가 태스크포스(TF)팀’이 출범했다. 7명의 은행·회계법인·신용평가사 직원들로 구성된 TF팀은 연말까지 두 업종의 신용위험 평가를 위한 기준과 세부절차를 마련한다.

주재성 금감원 은행업서비스본부장은 “은행별로 평가 기준이 다른 데서 오는 혼란을 줄이고 구조조정을 보다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TF팀이 기준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채권은행은 기준에 따라 신용위험을 평가해 기업을 4개 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별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화한다. 채권은행들 사이에서 이견이 있을 경우 조직이 확대되는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가 최종 방안을 결정한다. 신용위험 평가 결과 일시적 유동성 부족 기업(B등급)에 대해선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대신 자구노력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맺는다. 부실 징후 기업(C등급)은 채권단의 신규 자금 지원과 자금관리인 파견이 이뤄지며,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을 체결해야 한다. 또 부실기업(D등급)은 자금 지원이 없어 스스로 살 길을 찾아야만 한다.

김 원장은 “대주단 협약 적용이 승인돼 1년간 채무가 연장된 가입 건설업체와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패스트트랙)을 적용받고 있는 조선업체도 생존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구조조정 대상”이라고 밝혔다. 이미 지원을 받고 있는 업체들이 신규 자금을 요청할 경우에도 구조조정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도체와 자동차 업종에 대해선 관련 부처와 채권단이 자금 사정을 점검하고 있다”며 “문제가 깊어지면 개별 기업 중심으로 금융지원과 구조조정을 병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