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동 교수의 '세계 경제의 핵 화교' ⑥] 화교 네트워크의 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화교 네트워크는 새로운 모습의 국제 조직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새롭다는 것만으로는 화교 네트워크의 위력을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물론 그 새로운 모습들이 화교 네트워크의 이점으로 작용했음은 분명하지만, 사실 화교 네트워크가 점차 중요시 되는 이유는 바로 화교들에게서 찾아야 한다.

네트워크 없는 화교는 날개 없는 독수리와 같다. 만약 독수리의 날개를 참새가 가진다고 해서 독수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화교 네트워크를 만들어 낸 주체가 바로 화교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화교 네트워크의 강점은 경제력이다. 세계에 퍼져있는 화교들의 80%가 모여있는 동남아시아. 현지인들에 비해 6%에 불과한 그들은 동남아시아 자산의 86%를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이 많다고 해서 바로 강점이 되는 것은 아니다. 화교들은 이 거대한 자본을 그저 금고에 넣어두지 않았다. 화교들은 화교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와 국가를 뛰어 넘어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투자는 자본의 규모 이상의 거대함을 이뤘다. 화교들의 동남아시아 각 국 실질경제성장 기여도는 70%이상이다.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불확실성을 안고 있는 개발도상국에게는 실로 어마어마한 성과다. 그 뿐만 아니다.

화교들의 중국에 대한 투자는 중국 경제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동력이 됐다. 중국에 투자된 외국인 직접 투자액은 어림잡아 6000억 달러다. 그 중 4000억 달러가 화교자본으로 추정된다. 이는 직접투자액에 한한 것이고 간접 투자까지 포함하면 얼마나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화교 네트워크는 바로 이 어마어마한 화교자본의 유통과 성장을 낳은 장본인이다.

화교 네트워크의 또 다른 강점은 바로 화교 네트워크의 견고함이다. 화교 네트워크는 본래 관계망(關係網)에서 출발했다. 화교들은 혈연(血緣), 지연(地緣), 업연(業緣)으로 이루어진 이 관계망은 화교 네트워크로 이어졌다.

관시의 신뢰로 이루어진 이 관계는 폐쇄적이고, 배타적이다. 이로 인해 생기는 조직의 견고함은 소수민족으로서 화교들이 관시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정보를 자금의 유통이나 투자, 신규 사업 등을 비롯한 기업활동을 화교 네트워크 안에서 해결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이러한 기업활동의 독립적 운용은 외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시켰다. 기존 화교 기업인들이 사업을 펼치고, 새로 사업을 시작하는 화교들이 빠르게 성장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화교 네트워크의 견고함은 화교 네트워크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강점이다.

글=박정동 인천대 중국학연구소장, 이승훈 연구원(www.uics.or.kr)

거주국가 돌며 공식회의 ‘유대 강화’
화교 네트워크의 세계화

경제력, 내구성과 함께 화교 네트워크에서 주목해야 할 강점은 바로 세계화다. 세계화는 그 동안 서로 달랐던 사회가 전 세계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는 과정을 일컫는다.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지구촌은 세계화 속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국제기구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그 중 단연 앞서나가는 것이 바로 화교 네트워크다. 화교 네트워크가 일구어내는 세계화는 매우 눈부시다. 화교 네트워크가 많은 국제적인 조직 사이에서 세계화의 강점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첫 번째로 화교들의 분포에 있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동아시아, 북미, 호주, 유럽 등 세계 각지에 뻗어있는 화교들은 화교 네트워크를 통한 화교 사이의 단결을 중시한다.

또 굳은 신뢰관계로 이어진 이들은 화교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교류한다. 화교 네트워크는 국경의 장벽을 무너뜨려 세계를 더욱 좁히는 역할을 하고있다.

두 번째 요소는 언어다. 세계화에 가장 큰 장벽이 언어 장벽이다. 해당 국가의 언어와 영어에 능통하지 않으면 외국 기업과 교류가 어렵다. 하지만 화교들에게는 언어의 장벽이 없다. 화교들은 세계 각 지에 퍼져 그 나라의 말을 하며 살고 있지만, 그들의 모국어인 중국어를 배우는데 소홀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세계 어느 곳의 화교와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게 됐다.

세 번째는 화교들의 세계진출에 있다. 사실 화교 네트워크가 세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바로 화교들 자신이 세계성을 가지고 있는 데 기인한다.

비록 화교들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1980년대 이래 화교들은 해외 투자를 늘려가고 있다.

특히 세계 화교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홍콩과 국가 자본비율의 81%를 화교가 쥐고 있는 싱가포르가 세계 금융의 중심으로 떠오르자 화교들은 해외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계망(關係網)에서 시작한 화교 네트워크는 폐쇄적이고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라는 한계를 갖는다. 세계화에 어려움을 내포한다.

하지만, 화교들은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공식적인 화교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1981년에 설립된 국제화교협회는 2년마다 각 화교들이 거주하는 국가를 순회하며 회의를 갖는다. 지난 2005년 서울에서 개최됐던 세계화상대회는 화상 네트워크 중 최대 규모로 1991년 싱가포르에서 시작됐다.

화교들의 공식적인 회의들은 화교 네트워크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그치지 않고 화교간의 유대를 강화, 중국과의 관계 복원, 화교 네트워크의 공식화, 세계 각국에 대한 선전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만들어내, 화교 네트워크의 세계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글=박정동 인천대 중국학 연구소장・이승훈 연구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