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정보화>4.특별활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인터넷은 매우 광범위한 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정규 수업이 아닌 특별활동에 활용하면 그만큼 효과가 크다. 전통적 방식에 의해 특별활동을 지도할 때는 주로 교사의 능력에 따라 제한된 소재를 다룰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하지만 인터넷을 활용하면 학생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적성이나 소질을 발견하고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특별활동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사이트를 소개한다. .가상 음악당'홈페이지를 이용하면 재미있는 음악 특별활동 시간을 가질 수 있다.이곳에 접속하면 가요에서 팝송.클래식에 이르기까지 수백곡을 직접 감상할 수도 있고 내려받아(다운로드) 두었다가 듣고 싶을 때 들을 수 있다.컴퓨터 음악을 만드는 방법도 자세히 소개돼 있다. 교실안에서 이뤄지는 기존의 특별활동이라면 동물탐구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하면 가능하다..가상 동물원'사이트는 야생동물관.조류관.유인원관.소동물관.육식동물관.돌고래쇼장.대동물관.파충류관등으로 분류해 각종 동물의 사진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또 거대한 뱀 아나콘다와 악어의 싸움등 학생들이흥미를 가질 소재들을 동영상으로 보여준다. .한국의 야생화'사이트는 식물탐구가 가능하다.특히 이 사이트는 잊혀져가는 한국의 야생화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데이콤에서 지원하는.한국의 전통예술'홈페이지는 우리의 전통음악.무용.탈놀이.미술.건축등을 지방.분야별로 나누어 그 특색과내용을 소개하고 있다.국립국악박물관 이용과 토요상설 국악공연 일정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체육활동에 관련된 사이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인포미디어 에서운영하는 태권도 홈페이지는 태권도의 역사.정신.기본동작.예절.규칙등을 알려준다.동영상을 통해 몇몇 태권도의 기본동작을 배울수도 있다. .한국의 민속놀이'에 관한 홈페이지는 계절과 세시에 따라 민속놀이들을 구분해 소개하고 있다.정월에 즐기는 고싸움.윷놀이,대보름의 지신밟기.쥐불놀이등 각종 민속놀이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다.따라서 인터넷을 활용할 경우 관심쁀야가 같은 학생들끼리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가운데 특별활동의 궁극적 목표인 전인교육 실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태욱<한국교원대교수.정보통신연구소장> 음악.무용.건축.미술등을 소개한.한국의 전통예술'홈페이지 화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