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만찬.與 연석회의 표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동계 파업을 둘러싼 여권의 대응은 13일 하룻동안 영수회담가능성등 대화쪽에서 맴돌다.영수회담 절대불가'라는 냉기류로 굳어졌다. 13일 저녁 청와대의 의원.지구당위원장 만찬을 끝내고당사에 돌아온 김철(金哲)대변인은 한마디로 “영수회담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金대변인은“국회를 봉쇄하고 반독재 투쟁선상에서파업이나 선동하는 야당과의 영수회담은 불가능하다”며“ 이는 청와대의 의견과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못박았다.
법 재개정불가는 물론 불법파업에 대한 엄정한 법집행에 영향을주지 않으려 16일 고위당정회의마저 취소한다는 것이다.밀리지 않겠다는 김영삼(金泳三)대통령 특유의.정면대응'방식이 선택됐음을 알리는 전주곡이었다.
청와대 만찬에서 金대통령은 이례적으로“인쇄된 만찬사를 그대로읽겠다”며“남은 임기를 편안히 보내기 위해 노동법 개정을 유보할 수도 있었지만 국운과 직결되는 시급한 과제라 더이상 미룰 수 없었다”며 당위성을 거듭 천명했다.
金대통령은“우리 근로자들의 파업은 노동관계법 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해부족을 강조했다.다만 金대통령은“대통령으로서 국가발전을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여 왔지만 전체 국민의 기대에는 미치 지 못한 점도 있다는걸 잘 안다”고 해 노동법 개정으로 일고있는 여론의 비난을 간접 시인했다.
金대통령의 인사말이 끝난 뒤에는 맹형규(孟亨奎).임진출(林鎭出)의원등 초선의원들에게 애로사항,여성당원 관리방안을 물어보는등 시국과는 동떨어진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청와대의 강경방침과 달리 이날 오후까지는 영수회담을 포함한 대화복원의 가능성이 짐짓 비쳐지기도 했다.이홍구(李洪九)대표가오후 의원.위원장 연석회의에서“현재 영수회담을 총재께 건의할 생각이 없다”면서도“국회중심으로 대화가 진전되고 분위기가 조성되면 대통령께서 각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대할 수도 있다”고 했기 때문.
李대표는 이에앞서 오전10시엔 민주노총 지도부가 농성중인 명동성당을 불시에 찾아 대화기류로의 선회를 시사했다.
의원.위원장 연석회의에선 李대표와 강삼재(姜三載)총장.이상득(李相得)정책위의장등 당직자들이 모두 나서“노동법의 올바른 내용을 동시다발적으로 홍보해달라”고 일제히 당부했다.

<최훈.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