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간당원' 黨 최고실세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열린우리당의 최고 실세는 '기간당원'이 될 전망이다. 당 지도부, 국회의원, 2008년부터는 대통령 후보까지 기간당원들이 뽑는다.

대통령 후보.국회의원 후보 등의 선출권을 갖는 대의원들은 기간당원이 뽑으며, 기간당원 중에서 나온다. 만약 국민경선을 하게 되더라도 기간당원의 참여비율이 명기돼 절대적 영향력을 갖게 된다. 이 구상대로라면 국회의원들이 좌지우지하던 기존 정당과는 전혀 다른 정당이 출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열린우리당에 당비는 내지 않고 입당원서만 낸 '일반 당원'은 20여만명에 이른다. 이들과는 구분되는, 일정기간(현행 6개월) 이상 당비를 내는 기간당원이 앞으로는 정당권력을 쥐게 된다는 의미다. 기간당원 중심의 정당은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새로운 모델이다. 완전 개방형 국민경선제로 대선후보를 뽑는 미국식 정당과도 다르다.

흔히 정당개혁의 방향으로 인식되는 국회의원 중심의 원내정당과도 차원이 다르다.

열린우리당 '새정치실천위원회' 문건은 '당론 및 중요 정책에 대한 의결권'에 관한 항목에서 "의원총회가 당의 강령 및 기본정책에 위배되는 정책을 결정했을 때 당론 및 중요정책에 대한 최종 결정권한이 전국대의원대회에 있음을 명확히 해 의원총회에 대한 제어장치를 마련한다"고 적시했다. 국회의원보다 기간당원이 우위에 있다는 얘기다. 원내에선 주로 정책부문에 치중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과도 일치한다. 盧대통령은 그동안 원내중심 정당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원내정당으론 원외나 평당원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통상적 정치현안에 대한 운영은 당의장이나 원내대표, 국회의원 등이 중심이 된다. 겉으론 기간당원 중심의 정당이나 보통 정당이나 다를 게 없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선출권.견제권을 기간당원들이 갖게 된다는 데서 본질적 차이가 있다. 차기주자들도 기간당원들에게 더 신경을 써야 할 듯하다. 지지의원 숫자 등을 따지는 계보정치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

열린우리당의 중심세력이 될 기간당원의 규모는 대략 1만2000명선에서 출발할 것 같다. 공식적으론 '100만명'을 말하지만 중.장기적 목표다. '새정치실천위원회'산하 '100만 기간당원 추진단장'인 우상호(禹相虎) 당선자는 "일단 지역구당 500명 정도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선 직후인 2002년 말 대통령 직속'국가균형발전위' 성경륭(成京隆)위원장의 국정엘리트 1만명 양성론이나 4.15 총선 직후 정동영 당의장이 밝힌 '20~30년 집권세력의 토대'가 기간당원제로 구체화된 셈이다.

열린우리당은 지도체제도 기간당원 중심의 상향식 운영모델에 맞게 개편을 논의하고 있다. 두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나는 당의장 중심의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되 지도부 불신임.소환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다. 다른 하나는 '일상적 시기'와 '전국 선거가 있는 시기'로 구분해 일상적 시기엔 중앙위원회가 구성한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운영하다 전국선거가 있을 땐 6개월 전에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모두 지도부의 권한을 약화시키고 기간당원의 권한을 강화해주는 방향이다.

강민석.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