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쿄리포트>일본,核폐기물로 골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일본이 핵폐기물(원전에서 나온 폐기물을 재처리해 나중에 연료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원자력계에서는 사용후 핵연료라 함)처치에 골치를 앓고 있다.
프랑스와 영국등에 맡겨 재처리한 플루토늄을 해상(海上)수송하는 일은 국제적으로 따가운 눈총을 받고있고,나라안에서는 재처리장이 아직 가동되지 않은채 핵폐기물이 원자력발전소 안에 큰 공간을 차지하며 쌓여만 가고 있기 때문이다.“밖에서 는 그린피스,안에서는 원자력 자료정보실에 치인다”며 최근 일본을 겨냥한 반핵운동이 가열되고 있는데 대해 일본정부와 원자력업계는 곤혹스러워 한다.
◇재처리 현황=전력업계가 공동출자해 세운 일본 원연(原燃)이북부 아오모리(靑森)현 롯카쇼무라에 건설중인 재처리공장은 내년6월 핵폐기물 반입을 시작해 2003년에 조업개시,2007년부터 풀가동할 계획.그러나 이 공장만으로는 부족 하다.핵폐기물의연간 발생량은 9백~1천3백으로 재처리공장의 처리능력 8백을 훨씬 웃돈다.
원자력연구단지인 이바라키(茨城)현 도카이무라에 소규모 재처리공장이 있지만 능력은 연간 90에 불과하다.
한편 지금까지 영국.프랑스에 재처리를 맡긴 계약량이 5천6백인데 이중 5천5백이 반입됐고 1백이 남아있는 상태(전국 원전의 핵폐기물 보관량,각국에서 들여온 우라늄의 규모.가공량.처리플루토늄 양은 표참조).
◇문제점과 대책=원자로에서 뽑은 핵폐기물은 대형 수조에 담아냉각.보관하는데 전국 50개 원전에서 약 5천1백(96년 3월말 현재)을 넘어 수년내 대부분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
정부와 전력회사들은 발전소 안에 새 보관시설을 만들거나 원자로가 여러개 있는 곳은 장소를 상호 융통하는 방안,아예 집중저장 시설을 일정 장소에 만드는 방안등을 검토중이다.
2030년에는 약 6천의 신규 저장시설이 필요하다는 시산이 나와있다.
그러나 입지문제는 지자체의 이해가 엇갈려 만만치 않은 실정.
게다가 해외로부터의 원자재 확보는 어쩔수 없지만 재처리의 해외위탁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핵무기제조 가능성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플루토늄과 우라늄의 혼합연료 가공.사용방안이 현실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플루토늄을 원료로 하는 고속증식로.몬주'사고 이래 일본의 원자력정책이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다.
[도쿄=노재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