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적자나도 '非理버스' 매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서울 시내버스업체들의 도산위기는 가뜩이나 경영난에 시달리던 기존 적자 버스업체들이 버스비리 사건후 서울시가 노선 재조정등신속한 대책마련도 내놓지 않은 상태에서 사건의 여파로 사채시장마저 동결되는등 외부상황이 악화된데 따른 것이다 .한마디로.설상가상(雪上加霜)'인 셈이다.
황금노선을 운행하던 몇몇 버스업체들이 수입금의 일부를 뒤로 빼돌리며 공금유용을 하는 동안 실제로 89개 서울 시내버스업체중 30%정도인 30여개 업체는 평균 22억5천여만원,총6백76억원 정도의 누적적자에 시달려왔다.
그러나 이들 적자업체는 버스비리 사건이후 모두.도매금'으로 뒷돈을 빼돌리는.횡령회사'로 인식되면서 서울시로부터 받던 지원금도 끊어지고 은행등 금융권에서부터도 외면당하는 사면초가(四面楚歌)상태에 빠진 것이다.
또한 은행을 비롯한 사채업자들마저도 버스업체의 비리가 알려지고 경영상태가 열악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융자를 해주지 않고 있다. 매월 최소한 1억원정도의 적자액과 누적적자로 인한 이자등을 갚아야 하는 버스업체로서는 도산을 막을 길이 없는 것이다. ㈜보영운수 정판성(丁判聲)상무는“당장 운전기사들의 연말보너스 지급을 위해 최소한 2억3천여만원 정도가 필요하지만 아무리다녀봐도 돈을 구할 길이 없다”며“연말을 어떻게 보낼지 막막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같이 버스업체들이 악화된 경영상태로 도산위기를 맞고 있는 동안 서울시는 지난 한달동안 팔짱만 낀채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않아 도산위기를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노선조정의 합리적 개편이란 대의명분아래 시민단체와 전문가들 을 참여시킨 자문단을 구성한다고 발표했으나 시민단체와 의견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현재 자문단 구성도 안된 상태다.
또한 적자기업의 재정지원을 위한 산업합리화업체 지정도 별다른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버스업체들은“서울시가 늑장을 부리고 있는 동안 적자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들의 재정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도산하게 된다”며“신속한 대책마련과 재정지원이 없을 경우 운행이 중단되는 사태가속출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