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系 大選진로 논쟁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계의 차기 진로와 관련된 신한국당내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당내의 영입파.민정계에서 차기대선의 민주계 불가(不可)론이 불거진 것이 그 발단.
최형우(崔炯佑)고문등 민주계는 즉시.영원한 상도동'을 외치며반격에 나섰다.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부재(不在)중이라는 상황과 물려 제기된 이 논쟁은 마치 내년 경선의 전초전을 방불케 할 정도다.
민주계 불가론은 공정한 경선 대신 민주계 후보에게만 듬뿍 힘이 실리면 당이 온전치 못하리라는게 핵심이다.
가시적으로 직격탄을 날리는 쪽은 이회창(李會昌)고문이다.李고문은 최근 한 월간지와의 인터뷰에서“당의 정치적 결정이 당내 특정기반을 바탕으로 이뤄질 수만은 없다”며“중요한 결정은 당내모든 기반을 포용해 이뤄져야만 당이 깨지지 않는 다”고 주장했다.그는 아예“대통령은 국민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것이지 민주계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것은 아니다”고 못박은 뒤“명목만 경선방식이지 내부적으로 그렇지 못한 경선은 옳지 않다”며 마지노선을 긋고 있다.
박찬종(朴燦鍾)고문은 당원 경선제까지 주장하고 있다.朴고문은“대의원에 의한 경선보다는 당원 전체의 뜻을 모으는 경선방식이돼야 한다”며 특정계파의 독식가능성에 원천봉쇄를 제안한다.朴고문측은“8개 시.도에서 각 50명이상 추천받 는 현 경선규정에자격을 갖출 후보는 2명에 불과하다”며 노골적인 불만이다.
민정계의 한 중진의원은“PK 인사독점과 국정운영의 난맥으로 이미지가 좋지 않고 특히 총선결과에서 보듯 TK지역 득표가 기대난망”이라고 지적했다.그는 심지어 최형우고문의 차기 당대표 설(說)에“당이 깨지고 말 것”이라는 말도 서슴지 않을 정도다. 이에 민주계가 발끈한 것이다.최형우고문은 26일 부산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한국정치사에 상도동계보는 지속한다”고 민주계가능성을 배제하는 목소리를 일축했다.崔고문은“나의 조직은 상도동조직”이라며“그런 인간관계의 구축을 깔보거나 무 시해서는 안된다”고 경고를 보냈다.
崔고문은 당헌당규의 개정을 요구하는 당내주장에도“현행 규정에명시된대로 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경선의 공정성은 운용상의 문제라는게 그의 추후 설명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와관련,崔고문과 김덕룡(金德龍)정무장관이이달초 金대통령을 독대하고 나온 사실을 주목한다.모종의 전략이있는 건지,영입파와 민정계에 대한 공세가 시작된 것인지 비상한관심을 부르고 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