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밀도 재건축 확정후 업계 동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서울의 저밀도 아파트지구 재건축허용범위가 확정되자 대도시일대의 저층아파트 재건축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각 지자체의 재건축 아파트 용적률.층수제한으로 한동안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던 건설업체들은 이번 확정안에 따라 주요지역 저층아파트 재건축 수주를 위한 정보수집에 들어갔다.
특히 이번 안은 저밀도 아파트지구뿐 아니라 모든 저층 노후아파트에까지 적용될 수밖에 없어 시장성이 한층 넓어지기 때문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이에따라 서울 대형단지의 재건축사업 수주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프로젝트별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삼성은 가급적 면적이 1만평이상인 단지를 집중공략하되 빠른 사업추진을 위해 컨소시엄은 피하고 단독수주에 치중할 계 획이다.
서울잠실 주공1단지와 잠실시영아파트 재건축사업을 컨소시엄으로따놓은 현대건설은 아직 조합설립 인가가 나지 않은 잠실주공 2~4단지(9천8백60가구)의 재건축사업권까지 수주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업계는 그러나 최근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는 점을감안하면 대규모 프로젝트의 독자적인 수주보다 컨소시엄으로 초기투입자금 부담을 줄이고 위험도도 낮추는 전략이 우세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와관련,대우건설은 마구잡이식 물량확보를 지양하고 수익성 중심의 선별수주로 방향을 잡되 가급적 다른 업체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자금투입 부담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동아건설.대림산업등 대형업체들도 이번 확정안에 근거,서울강남.잠실.강동일대의 저층 노후아파트단지 사업타당성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건설업계는 그러나 이번 안이 당초 서울시 방안보다는 완화됐지만 그렇다고 업계와 주민들에게 당장 수익성을 보장해주는데는 미흡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잠실주공1단지의 경우 2년여전 현대건설등 컨소시엄이 수주당시제시한 8천1백56가구(용적률 3백42가구.29층)에 비해 용적률 2백85%를 적용하면 1천4백여가구정도가 줄어들어 주민부담률이 20%정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특히 용적률은 공원.도로.학교부지등을 제외한 부분에서만 2백85%를 적용하기 때문에 실제 가구수는 이보다 훨씬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다만 업계는 앞으로 이같은 대형단지 재건축때 건설사가 일정지분을 가져 분양권을 얻는 지분제 대신 도급제로 추진할 경우 채산성이 그리 나쁘지 않기 때문에 눈독을 들일 수밖에 없다.

<황성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