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4.3% → 3.5%”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5%로 낮췄다. 6월에 전망한 4.3%에서 0.8%포인트를 내려 잡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전 세계 성장률도 당초보다 0.9%포인트 내린 3.0%로 수정했다.

IMF는 8일(현지시간)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를 내고 “세계경제가 1930년대 이후 최대의 위기에 직면했다”며 “올해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내년 하반기에야 완만한 회복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원지인 미국은 내년 성장률이 0.1%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연합(EU·0.6%)과 일본(0.5%)의 성장률도 1%를 밑돌 것으로 봤다.

전 세계가 경기 침체에 빠지면서 수출을 많이 하는 한국도 성장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IMF는 분석했다. IMF가 예상한 한국의 내년 성장률 3.5%는 이른바 신용카드 대란으로 경제가 신음했던 2003년(3.1%) 이후 최저치다. 이에 앞서 한국경제연구원 등 민간 경제연구소들도 미국발 금융위기가 번지면서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 전망을 4%대 초반에서 3%대 중후반으로 낮췄다.

성장률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정부도 내년 예산안을 수정하는 게 불가피하게 됐다. 당초 정부는 내년에 4.8~5.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예산을 짰다. 그런데 성장률이 3%대 중반으로 떨어지면 세수가 많이 줄어 큰 폭의 적자가 불가피하다. 이와 관련,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국정감사에서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새로운 상황이 생긴 만큼 (예산안 수정을) 예결위에서 같이 논의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도 당초 예상(4.7%)보다 낮은 4%대 초반에 머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세계경제포럼(WEF)이 이날 발표한 ‘2008년도 국가 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은 전년보다 두 계단 떨어진 13위를 차지했다. 전체 평가 대상은 134개국이었다. 우리나라는 ‘거시경제의 안정성’(4위), ‘기업의 혁신성’(9위)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금융 시장 성숙도’(37위)와 ‘노동 시장의 효율성’(41위) 등에서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해고 비용’(108위), ‘노사 간 협력’(95위), ‘자본 이동에 대한 규제’(65위) 등의 점수가 나빴다.

종합 1위는 미국이었으며 다음은 스위스·덴마크·스웨덴 순이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5위)·일본(9위)·홍콩(11위)이 우리보다 앞섰다.

권혁주 기자

[J-HOT]

▶"작년 12월에 20억 빌렸는데 30억 넘게 갚을 판"

▶증권사 백모씨 "故최진실, 자살 직전 전화 두번 걸어왔는데…"

▶박희태 "보약 한번 먹은 적 없다, 건강 비결은 □□□"

▶'살고 싶은 도시' 1위는 서울 강남구 아닌 '이곳'

▶세계대학평가서 카이스트 95위, 서울대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