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등록자 많은 韓醫大 '무더기 제적'서 구제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수업거부에 따른 한의대생 1천5백여명의 집단 유급시한을 이틀앞둔 29일 교육부와 해당대학 총장들이 이들에 대한 「변칙구제불가」 입장을 재확인함으로써 지난해 2학기부터 계속된 한의대 사태가 파국에 직면하게 됐다.
다만 2학기 등록학생이 비교적 많은 대학은 수업복귀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학칙개정을 허용해 선별적으로 구제하는 방안이적극 검토되고 있어 일부 선의의 피해자는 구제될 전망이다.안병영(安秉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오후 이성호(李 聖浩)보건복지부 장관과 공동담화문을 발표,『학업포기까지 불사하는 무한투쟁을더 이상 수용할 수 없다』며 교수.학생.학부모의 수업정상화 노력을 촉구했다.
安장관은 이날 오전 한의대가 있는 11개대 총장들과 가진 회의에서도 『수업을 의식적으로 거부하는 학생들의 유급과 제적을 막아줄 어떠한 논리나 명분도 찾을 수 없다』며 『선별 구제를 위한 학칙개정 승인 여부는 교수.학생들의 강의.수 업의지가 보이는 경우에만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11개대 총장들도 이날 결의문을 내고 『한의학 문제와 학사문제는 엄격히 분리돼야 한다』며 『학생들의 수업복귀를 위해 최후까지 최선의 노력을 하되 수업복귀 시한을 넘길 경우 학칙을 엄격히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선별구제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등록학생이 많은 학교에 대해서는 제적과 관련된 학칙개정을 승인,등록학생을 구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라며 『정원 4백73명중 90명이상 등록한 동국대의 경우 학칙개정 승인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29일 현재 2학기 등록 한의대생은 11개대 4천5백여명중 동국대.대전대.경산대.동의대.동신대등 5개대 2백40여명이다. 한편 교육부는 집단유급및 제적사태가 벌어지더라도 97학년도 입시에서 한의대 진학희망자등 선의의 피해자들을 고려,정상모집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