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해복구,보다 효율적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경기.강원지역의 집중호우 피해규모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어제까지는 인명피해가 사망.실종 합쳐 87명,재산피해는 2천6백여억원으로 집계됐다.민.군.관이 구슬땀을 흘리며 복구작업에 나서고 있고,정성어린 위문금품이 답지하고 있다.그러나 닫는 말에 채찍질한다고,복구작업이 지연되거나 손 발이 안맞는 행정에 대해선 말 좀 해야겠다.
우선 피해확인이 늦어져 구호활동이 제대로 안된 곳이 자주 눈에 띈다.위험지역 여부나 피해가능성에 대한 지식은 해당지역 공무원이 제일 잘 알텐데도 왜 그런 일이 생기는가.외부와 단절된채 식량지원 없이 며칠을 버틴 곳도 있다.그런가 하면 어떤 곳은 장비가 남고 어떤 곳은 턱없이 부족하다.복구작업에 임하는 당국의 무계획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일이다.
자원봉사자들이 밀려들고 있으나 활동분야를 배정받지 못해 시간을 허송(虛送)한 일도 있다.그런가하면 쓰레기의 다량(多量) 배출을 예상 못한 나머지 이 무더운 여름철에 질병 발생의 가능성을 안은 쓰레기 더미가 곳곳에 쌓이고 있다.장비 와 인력을 갖춘 기업들의 재해대책반이 투입되지 않았다면 큰일 날뻔한 곳도있다. 물론 갑자기 닥친 대재해(大災害)에 완벽하게 대처하기는어렵다.피해지역은 과거 큰 수해를 겪은 경험이 없는 곳이기도 하다.하지만 공공 구조활동이 능률적으로 벌어지고 있다고 볼 수없는 측면이 너무 많다.수해복구 활동이 갈팡질팡하는 이유는 무엇일까.평소 풍수해(風水害)예방대책이나 복구대책에 관한 훈련이덜 돼 있고 행정이 중심적 역할을 제대로 못하기 때문이다.
정부 공조직은 항상 자연재해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갖고 있어야하며 부단히 그것을 점검.보강해야 한다.우리는 지난 3년간 가뭄을 극복한 실전경험을 쌓았으며,미증유의 대형사고를 여러번 겪었다.그런 경험들이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행정력에 녹아들었다면 이처럼 문제가 날 때마다 서투르게 대응하지는 않았을 것이다.앞으로 태풍이 올지도 모르고,또 어떤 대형사고를 당할지도 모르니능률적인 방재(防災)시스템을 구축해놓아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