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재산 처분 쉽지않네…"

중앙일보

입력

한나라당은 27일과 28일 당 회의를 국회에서 열었다. 지난 26일 내린 비로 천막당사 대표실 천장 일부가 주저앉아 버린 게 계기가 됐다. 27일 오후 보수를 마쳤지만 당직자들은 비좁은 천막 당사 대신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싶어한다.

천막 당사 생활이 길어지는 건 중앙당사 매각이 소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대표는 총선 후 "중앙당사 매각이 완료될 때까지는 천막에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지 763평에 지상 10층,지하 6층인 한나라당 중앙당사에 대해 한 미국계 투자펀드회사는 두달째 실사를 하고 있다.매각업무에 관여하는 한 당직자는 "5월말에나 실사가 끝날 예정"이라며 "6월초에나 매각협상이 마무리될 것같다"고 했다.예상 가격은 400여억원 정도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당사가 팔려도 손에 쥘 금액은 미미하다고 토로한다.우선 1995년 건축을 담당한 금호건설에 건축비 잔금 55억원을 갚아야 근저당이 풀린다.또 당 사무처협의회 직원 355명은 밀린 임금과 퇴직금 236억원에 대해 가압류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한나라당의 또 다른 자산인 천안연수원은 불법 대선자금에 대한 속죄용으로 국가에 헌납하겠다며 부동산신탁회사에 넘긴 상태다.지난 27일 대법원은 세풍사건에 대한 판결에서 불법 정치자금일지라도 개인이 유용한 부분에 대해서만 추징금을 선고하고 정당 등에는 추징 책임을 물리지 않았다.하지만 한나라당은 그것에 구애받지않고 예정대로 헌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 이른바 안풍 사건과 관련해 국정원이 한나라당을 상대로 국고 환수를 요구할 지 모른다는 소문이 돌아 한나라당을 긴장시키고 있다.한 당직자는 "안풍 사건의 경우 이미 공소시효도 지난 데다 돈의 성격이 불분명한 것 아니냐"며 "안기부 자금이 확실하다면 벌써 당에 가압류 처분이 들어왔을텐데 국정원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국정원측은 "아직 사건에 대한 재판이 안 끝났다"면서 "지금으로선 말할 게 없다"고만 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