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국토의 墓地化는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보건복지부가 장묘(葬墓)제도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본다.이미 전국 공장터의 3배,서울시 면적의1.5배,국토의 1%인 9백82평방㎞가 묘지고 해마다 여의도 3배인 9평방㎞가 묘지로 변하고 있다.이런 추세 를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50년 이내에 주거용이나 산업용으로 이용 가능한 국토가 모두 묘지가 된다는게 전문가들의 계산이다.
따라서 국토의 묘지화를 막으려면 가능한한 묘지면적을 줄이고 화장및 납골(納骨)을 장려하며 매장에도 시한을 두게 법과 제도를 바꿀 수밖에 없을 것이다.
면적은 개인묘지의 경우 6평이내,집단묘지의 경우 3평이내,매장기한은 집단묘지의 경우 최장 90년으로 하자는게 복지부의 시안이다.미국은 남한보다 1백배나 넓은 나라지만 묘지면적은 2평이 상한선이다.프랑스인들도 우리 못지않게 조상과 가문을 중시하지만 최장 매장기한은 50년이다.그런 외국의 예를 감안하면 복지부의 시안이 과격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법과 제도가 요구해서가 아니라 우리들 스스로 장묘에 관한 생각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스럽다.현재 전국 2천만기의 묘가운데 8백만기가 무연고(無緣故)묘로 돼 있다.매장을 한다고 해서 자손들이 더 돌보고 납골을 한다고 해서 소홀히 하는 건 결코 아니다.화장보다 매장을 선호하는 관념도 실은 조선시대에 형성된 것이다.불교가 성한 고려때는 화장을 오히려 선호했다는 기록도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화장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정부는 이런 추세를 강화하기 위해 화장및 납골시설을 더 많이 설치하고 더 현대화해서 매장에 비해 비교우위를 갖도록 해야 한다.또 무연고 묘지는 빠른 시일안에 정리해 재사용 함으로써 묘지의 국토 잠식을 줄여야 한다.
아울러 공직자나 사회 지도층이 장묘문화의 개선에 솔선수범하도록 장려하고 유도책을 마련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정책과제일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