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지방대 살 길 제시한 두 대학의 통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국립대학인 경상대와 창원대가 통합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한 것은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고교생 감소로 신입생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대학의 탈출구는 현실적으로 인수.합병(M&A) 이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두 대학의 통합이 그동안 부산,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충남, 충북, 강원지역의 국.공립대학 간에 논의돼온 구조조정의 촉매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지방 사립대들이 통.폐합에 관심을 갖기를 촉구한다.

출산율 저하로 대학 지원자는 해가 갈수록 줄어들게 된다. 지난해 지방대의 미충원율은 18.3%로 수도권대학의 14배가 넘을 정도로 심각한 실정이다. 입시철만 되면 교수들은 본업인 연구와 교육은 내팽개치고 학생 끌어모으기에 혈안이다. 월급을 공제해 합격자 전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최신형 휴대전화기를 선물로 주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그나마 간신히 채운 정원도 2, 3학년이 되면 편입시험을 치르고 수도권대학으로 떠나니 캠퍼스의 공동화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이대로 가다가는 조만간 문을 닫는 지방대가 나올지도 모른다.

위기의 지방대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몸집부터 줄여야 한다. 여러 대학이 통합해 1개 대학 다(多)캠퍼스 운영이나 연합대학 체제를 구축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폐교도 불사해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방 국.공립 대학들이 활발하게 통.폐합을 시도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등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사립대의 자유로운 퇴출을 허용하는 법률 제정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대학 통.폐합의 최대 걸림돌은 교수와 교직원, 학생, 동문, 주민의 반발이다. 대학을 합치면 학과와 행정조직의 축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다가 겪을 공멸에 비하면 이들의 반대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난관이다. 통합에 합의한 대학 책임자들은 대학 구성원들에게 통합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반발에 굴복해 이름뿐인 통합만 이뤄져 되레 대학의 규모가 비대해지는 잘못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