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교육감 후보들의 교육철학 면밀히 살펴야 할 이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서울시교육감 선거의 혼탁 양상이 점입가경이다. 후보 간 비방전이 노골화되고 있다. 교원단체의 선거 개입도 도를 넘었다. 교원단체는 선거운동이나 후보 지지 선언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전교조는 특정 후보 지지 모임에 학부모를 동원하는 등 대놓고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한국교총도 특정 후보 지지 방안을 논의 중이다. 양대 노총도 가세하고 있다. 한국노총 서울지부는 보수성향의 공정택 후보, 민주노총은 진보성향의 주경복 후보 공개 지지를 선언했다. 여야 정치권도 선거에 끼어들고 있다. 교육감 선거가 정당과 단체들의 대리전 양상으로 변질되고 있는 것이다. 이래서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설 자리를 잃고 만다.

이럴수록 유권자가 중심을 잡고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교육감 선거는 올바른 교육철학을 갖고 교육발전을 이끌 사람을 뽑는 일이다. 그렇다면 정당이나 교원·노동단체의 선동에 휘둘려선 안 된다. 오로지 후보들의 교육정책 공약을 면밀히 따져 똑바른 결정을 해야 한다.

후보 성향에 따라 교육정책 방향은 크게 엇갈린다.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따라 교육 판도가 달라진다는 얘기다. 보수 쪽 후보들은 자율과 경쟁을 강조한다. 고교 선택제를 실시하고 학력진단평가를 확대하겠다고 한다. 교원평가제를 실시해 교사의 질을 높이고 수준별 이동수업과 영재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진보 쪽 후보는 평등교육을 내세운다. 고교 선택제를 없애고 학력진단평가도 폐지할 방침이다. 경쟁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자립형 사립고나 국제중 설립도 금지하겠다고 한다.

이젠 어느 쪽에 자녀의 미래를 맡겨야 할지를 생각해야 한다. 선택의 기준은 어떤 정책이 국가의 미래를 담보하는 교육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가 되어야 한다. 잘못된 선택은 교육을 거꾸로 가게 한다. 교육을 발전시킬 바른 교육감을 뽑아야 한다. 그것은 유권자의 권리이자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