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반성없는 일본 교과서 왜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승전과 패전,선정(善政)과 악정(惡政)을 기록하며 인간의 숭고한 면과 추악한 면을 고르게 기록으로 남겨 앞날의 거울로 삼자는 것이 역사학의 초보적 기능인 교훈적 의미로서의 역사학이다.이 때문에 어려서부터 제 나라역사를 바르게 배우 고 남의 나라역사를 배워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는 것이 교육의 중요한몫이 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일본인의 역사교육은 기초부터 잘못돼 있다.
잘못한 역사의 죄과는 숨기고,잘한 역사만 남기자는 역사왜곡이 일본 정부의 지시에 의해 아직도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소상히 확인됐다.
일본 출판노조로부터 본사 일본총국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강압적 합병조약에 저항해 농민반란이 일어났다는 검정전 교과서내용을 검정후엔 전문삭제 했다.「젊은 여성도 정신대명목으로 전장에송출했다」는 기록은 「공장등에 동원했다」로 바꿨 다.이런 대목이 수없이 많다.불리한 것은 삭제하거나 「연구중」으로 발뺌하면서 평화유지활동이나 일본의 개도국에 대한 원조등은 부각시키기를교과서검정지침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미 종군위안부문제는 유엔 인권위원회가 현지조사를 마치고 보고서를 만들어 일본에 배상을 촉구했고,위안부 아닌 「군대용 성적 노예」(Military Sexual Slavery)로 고쳐교과과정에 수록토록 권고안을 내놓은 바 있다.한 .일(韓.日)간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적 범죄행위로 규정한 유엔의 권고마저 일본은 제 역사에 남기려 하지 않고 있다.
망언과 교과서 왜곡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일본인의 역사의식이 이런 수준에 머물러 있는한 한.일간 유대와 협력은 불가능하다.제 나라역사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일본의 청소년교육을위해서도 불행한 일이다.더욱 한심한 일은 학계는 비교적 바르게쓰려는 노력을 하려해도 검인정권한을 지닌 일본 문부성이 이를 막고 있다는 점이다.역사를 바르게 기록하고 인식해 지난날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을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는 것은 일본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