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상인들 “촛불 피해 집단소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시변은 9일 ‘광화문 상인 피해에 관한 특별 기구’를 만들어 국민대책회의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바른사회시민회의’와 ‘과격 불법 촛불시위 반대 시민연대’도 소송을 지원키로 했다.

시변은 지난달부터 광화문 상인을 상대로 ‘촛불시위로 인한 영업 피해’에 대해 법률 지원을 해 왔다. 상인들은 “손해가 막심하다”며 아우성쳤지만 소송에는 선뜻 나서지 못했다. 시위대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하지만 지난 6일 KBS 생방송 심야토론의 ‘벼랑 끝 대치, 정부와 촛불’ 방송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패널로 나온 민변의 송호창 변호사 발언 때문이다.

송 변호사는 토론회에서 “장사 안 된다며 촛불반대 시위에 참가했던 상인들은 광화문 상인이 아니다. 광화문 일대 식당들은 실제로 장사가 잘된다. 광화문 지역에 있는 편의점·식당 등이 보통 10~11시에 문을 닫다가 지금 9시 전에 닫는다. 물건이 다 팔려서다. 한 달 동안 벌어들일 매출을 지금 하루 만에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격분한 광화문 상인들이 소송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다. 시변의 이헌 변호사는 “광화문 상인들의 피해가 큰 데도 집회를 주관하는 쪽에서 이런 사실을 폄하하는 게 소송의 큰 동기가 됐다”며 “이번 소송에는 송호창 변호사가 광화문 상인들을 폄하한 말에 대한 위자료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가회동·삼청동 일대 상인들과 효자동 주민 70여 명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 사무실 앞에서 미국산 쇠고기 반대 촛불시위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 지역 상인연합회 이건선(67) 대표는 “설렁탕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데 촛불집회 때문에 두 달 넘게 장사를 못했다”며 “대책회의에 주도적으로 개입한 참여연대는 집회가 장기화되면서 이 지역 사람들의 생활이 어떻게 망가졌는지 알아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한편 뉴라이트전국연합은 대책회의에 참여한 1441개 단체에 대해 10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장을 제출키로 했다. 뉴라이트는 “대책회의가 ‘뉴라이트와 반핵반김국민협의회가 힘없는 여성을 골라 집단폭력을 행사했다’고 한 지난달 24일 기자회견은 사실이 아니고, 이로 인해 단체의 명예가 훼손됐고 업무가 마비됐다”며 소장 제출 이유를 밝혔다.

한은화·이진주 기자

◇시변=2005년 출범한 보수 성향의 변호사 단체. 2005년 진보 성향의 박시환 변호사 등이 대법관 후보에 제청되자 반대 성명을 냈고, 강정구 교수 사건 때는 불구속 수사 지휘권을 행사한 천정배 당시 법무부 장관의 퇴진을 요구하는 서명 운동을 벌였다. 현재 회원은 600여 명.

[관련기사]

▶ 피해 검사 "내가 당해보니 고통 알겠더라"
▶ 광화문 상인 "민변 변호사 "장사 잘된다" 말에…"
▶ 'PD수첩' 수사에 외교 채널 활용…美에자료 요청
▶ 서울대병원장도 "美쇠고기 먼저 먹겠습니다"

[J-HOT]

▶ 피해 검사 "내가 당해보니 고통 알겠더라"
▶ "독도는 한국땅 " 김장훈, NYT 전면광고
▶ 한참 '뒷북' 한나라 중딩도 비웃지 않을까…
▶ 박근혜 "내가 누구 딸인지 몰라 유세 부탁?" 말·말·말
▶ 3분만에 그린 절벽, 갑자기 종이에서 물이…탄성!
▶ 반기문 총장에 "대한민국 창피하다" 효과 물으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