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당권 설정 안알리고 소개 중개업자가 피해 일부 보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3월15일부터 부동산 중개업자가 저당권.전세권등이 설정된 것을 미리 알리지 않고 부동산을 소개해 고객이 피해를 보았을 때는 중개업자가 피해액의 일부를 보상해야 한다.
또 자동차 견인업자가 주인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사고난 자동차등을 견인했을 때는 견인료의 10%를 차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 옷을 산 사람이 7일 안에 바꿔달라고 요구했을 때 맞는 치수가 없으면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다.
재정경제원은 피해보상 기준이 없어 최근 분쟁이 잇따르고 있는자동차 견인업등 8개 업종에 대해 이런 기준을 마련했다.
재경원은 옷등 다른 업종기준도 일부 보완,정책심의위원회 등과협의를 거친후 3월15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피해보상 규정이 신설되는 업종은▶자동차 견인업▶부동산 중개업▶레저용역업▶골프장업▶스키장업▶종합체육시설업▶콘도미니엄업▶운동설비 운영업등이다.
또 결혼준비 대행업자가 당초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계약내용과의 차액을 소비자가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재경원은 이와 함께 가전제품에 대해▶TV 7년▶세탁기 6년▶전기믹서 4년등의 내구기한을 정해 제조업자가 이 기간중엔 모델을 바꾸더라도 부품을 갖추고 있도록 하고,제조업자가 이를 어겨고객이 수리받지 못하게 됐을 때는 해당 제품의 내구기한중 남은기간 만큼의 가치를 보상하도록 기존 규정을 고치기로 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