씀씀이 커 잔액은 盧씨 보다 적어-드러난 全씨 비자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전두환(全斗煥)전대통령의 비자금이 차츰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검찰이 全씨가 대통령 재임중 5,000억원 가량의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공식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는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이 재임중 조성한 비자금 규모(4,500억~4,600억원)를 능가하는 액수다.
검찰이 그동안 기업인들과 全씨 주변 인물들 조사,계좌추적등을통해 밝혀낸 全씨의 비자금 잔액도 1,000억원 수준이다.
비자금 조성경위는 盧씨와 다를 바 없다는게 수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검찰조사결과 全씨 역시 대기업 총수등으로부터 이권의 대가나 정치자금등 명목으로 거액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그동안 30대 기업의 관계자들을 상대로 극비리에 조사를 벌여 일해재단등 각종 재단의 모금이나 국책사업.대형공사등을수주하는 대가로 한번에 수십억원씩의 뇌물이 全씨에게 건네진 사실을 확인했다.
검찰 관계자는 『全씨의 비자금 조성 과정이나 관리방법등이 盧씨의 경우와 거의 유사하다』며 『다만 全씨의 씀씀이가 盧씨보다커 잔액은 盧씨(1,857억원)보다 훨씬 적은 것같다』고 말했다. 검찰은 그동안 부실기업 정리과정과 5공기간중 시행된 율곡사업 추진과정,제2민항 인가과정등 5공 특혜사업에 대한 조사를통해 全씨가 기업인들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87년 대선을 앞두고 全씨가 기업인들로부터 대선자금 명목으로 거액을 받았으며 일해재단등 각종 재단의 모금과정에서도 성금을 횡령한 사실이 기업인 조사등에서 밝혀졌다고 한 수사관계자는 전했다.
全씨는 퇴임후 남은 비자금을 채권.예금.부동산 등으로 은닉,관리해 온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검찰은 그동안 全씨가 조사에 전혀 협조하지 않아 잔액 확인 작업에 애를 먹었으나 계좌추적과 全씨의 측근.친인척에 대한 조사를 통해 비자금 잔액의 상당 부분을 밝혀내는 성과를 거뒀다.
全씨는 특히 비자금중 상당 부분을 윤광순(尹光淳)전한국투자신탁 사장과 金경자씨등 사돈들에게 맡겨 관리해 왔다.검찰 조사결과 예금등 금융상품 형태로 은닉된 비자금만도 8개 금융기관에 수백억원대에 달한다.
검찰은 이와함께 경기도 일대 70여곳에 全씨 친인척 명의로 구입된 부동산에도 全씨 비자금이 유입됐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계속하고 있어 수사 진전에 따라선 잔여 비자금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비자금 사용처에 대해선 全씨가 한사코 입을 열지 않는데다 퇴임후 시간이 많이 흘러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설사 全씨로부터 정치자금을 받았더라도 이미 공소시효를 넘겨사법처리 대상은 아니다.따라서 검찰은 全씨를 특 가법상 뇌물수수혐의로 추가 기소한 뒤 시간을 갖고 사용처를 추적할 계획이다.
이용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