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교육과정개혁안-초.중.고 교육 어떻게 달라지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교육개혁위원회가 14일 내놓은 새 교육과정 시안은 이제껏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학력차를 무시하고 획일적인 학습내용과 방법으로 교육해온 학교현장을 학생 중심으로 탈바꿈시키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에따라 학생을 교육현장의 주체로 유도하려는 방안이 모든 영역에 반영돼 있으며 초.중학교에서의 기존 도덕교과를 통한 수동적 인성교육방법과 달리 실천과 토론위주의 인성교육을 강조한다.
특히 21세기의 생명력으로 여겨지는 창의력 신장을 위해 학생들에게 교과목 선택권을 대폭 넘겨준다.고교 2,3학년에서는 필수과목이 축소되고 다양하게 신설될 선택과목중 50% 정도를 학생 자신이 능력.적성.진로등을 고려해 선택하게 된 다.
초.중.고교에서 학생 개인의 능력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과목마다 수준별 교육과정과 능력별 이동식수업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점도 획기적이다.그동안 앞서가는 학생이나 뒤떨어진 학생들이 한교실에서 공부해야 했던 평준화정책의 모순을 보완 하고 개개인의능력과 적성에 따라 선택한 소수과목의 심화학습을 장려하려는 방안으로 풀이할 수 있다.
새 교육과정은 정보화.세계화사회에 대비,「국민 공통기본교육」기간도 1년간 연장했다.국교 1학년부터 고교 1학년까지 10년간 일반계.실업계를 막론하고 공통으로 동일한 교육과정구조를 따르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정보화사회는 진로결정에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요한 기초학력 준비를 고1까지 연장하는 것은 타당하게보인다.진로결정의 융통성과 다른 학교유형간의 이동도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국교에서 고교까지 교과별 학습내용을 일관성과 연계성을 두고 개발해야 하고 교과의 통폐합이 불가피해지는등 여러 현실적 문제가 예상된다.예컨대 고1까지 연속될 국사와세계사를 통합적으로 가르칠 교재가 개발돼야하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 고 2,3학년 공통필수과목이던 국사과목이 선택으로 바뀌게되는 것들이다.
이밖에도 국교 국어시간이 1시간 늘어 강화추세로 가는 것은 외국어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환영할만한 방안으로 보인다.또 컴퓨터 교육을 포함하게 될 각급학교의 재량시간 확대 역시 바람직하다.그러나 국민학교의 수업시간이 1~3시간 가량 늘게됨에 따라교사의 수업시간 부담이 부작용으로 대두할 우려가 있다.
이같은 교육과정의 획기적 변화와 관련해 재량시간 설정,과목 채택,교과서 선정등에 있어 교육당국의 통제가 완화되고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이 늘어나게 돼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을 기대해봄직도 하다.
이번 교육과정 개혁시안은 교육현장을 획기적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야심찬 내용을 담고 있으나 현재의 우리 교육현장 여건을 감안할때 어떻게 「19세기의 교육현장」을 「21세기의 현장」으로변신시킬 수 있을지는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당장 여건이 가능한학교들에서 부분적으로 시범실시를 한다 해도 전문 교과교사들의 확보,교실확보,교재개발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들간에 연합체제를 형성한다거나 지역 단위에서수학.과학.예능등 영역에 따라 능력별학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는등 현실적 방안의 모색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강양원 교육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