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아파트 98% 자동화재탐지기 불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서울시내 대부분 아파트의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노후화됐거나 관리소홀로 화재발생시 무용지물이 될 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보호원은 최근 서울 강남.북 아파트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준공연도별로 15개 아파트단지 154개동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안전실태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아파트 154동가운데 98.7%에 해당하는 152동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경보음장치를 차단하고 있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혀 작동이 안됐다.
수신기를 커튼으로 가려놓거나 수신기위에 메모지를 붙여둔 사례가 많은가하면 수신기를 이미 폐쇄된 경비실이나 지하실에 설치해놓은 사례까지 조사됐다.이번 조사에 앞서 소비자보호원이 지난 9월 서울용산구.노원구.일산신도시 등지의 7개 아 파트단지관리사무소및 관할 소방서를 조사한 결과 소방서에서는 「소방법」에 따라 연1회이상 소방시설을 점검해야하나 인력과 예산이 절대적으로 부족,제대로 점검을 못하는 현실인 것으로 밝혀졌다.또 아파트관리사무소도 노후화된 자동화재탐지설비 전체를 보수 또는 교체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 대부분의 경우 방치하고 있고 작동되는설비도 전원을 차단해놓는 경우가 90%나 돼 문제가 큰 것으로지적됐다.
유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