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민심’에 6·4 재보선 판세 흔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이틀 앞으로 다가온 6·4 재·보궐 선거 결과에 정치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번 재·보선은 국회의원 선거는 없고, 기초단체장 9명과 광역·기초의원 42명만을 뽑는 경량급 선거다. 그러나 최근 쇠고기 정국의 민심과 이명박 대통령 취임 100일(6월 3일)에 대한 평가가 드러나는 선거라는 점에서 정치적 무게가 만만치 않다.

재·보선을 바라보는 한나라당의 시선은 두 달 전 총선 때와는 딴판이다.

권영세 사무총장은 1일 “기초단체장의 경우 접전 지역이 많은데 쇠고기 정국의 영향 때문에 결과가 낙관적이지 않다”며 “유권자들이 연이은 선거에 지쳐 여론조사조차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남해 군수 선거를 지원하려고 서울과 남해를 오가고 있는 박희태 전 의원은 “한나라당 후보가 무소속 후보에게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포천-연천의 김영우 의원과 경산-청도의 최경환 의원도 자신의 지역구에서 치러지는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이변이 벌어질까 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초·광역의원 선거 전망도 밝지 않다. 한나라당이 지역구 100의석을 독차지하고 있는 서울시 의회도 이번에 열리는 강동·광진구 광역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독점 구조가 깨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반면 민주당은 “이번 재·보선이 이명박 정부의 심판대가 될 것”이라며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다.

특히 지난 총선에서 전멸하다시피 했던 수도권의 선거 결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민주당 후보가 큰 열세로 출발했지만 최근 쇠고기 문제가 이슈가 되며 급속도로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며 “서울 강동구청장과 인천 서구청장 선거가 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손학규 대표는 지난달 31일 서울 강동구와 인천 서구를 잇따라 찾아 “국민 건강과 검역 주권을 내다 판 이명박 정부에 국민의 뜻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이번 재·보선에서 알려야 한다”고 호소했다. 민주당의 고민은 투표율이다. 투표율이 20%대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돼 여론과는 무관하게 조직 대결 양상이 벌어질 경우 야당 후보가 불리할 수도 있다고 보고 지지층의 투표 참여를 독려하기로 했다.

김정하·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