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버시바우의 결례, 손학규의 정치 계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를 놓고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와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가 설전을 벌였다. 버시바우 대사가 전화로 “‘30개월 미만의 소만 수입돼야 한다’는 손 대표의 발언에 실망스럽다”고 따졌다. 그러자 손 대표가 “야당대표에게 이런 식으로 전화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받아쳤다고 한다. 또 손 대표가 통화내용을 공개하자 버시바우 대사는 “사적인 대화를 공개해 좀 놀랐다”고 응수했다고 한다.

버시바우 대사의 언행은 주재국 대사로서는 온당치 못했다. 대사는 양국 현안을 놓고 주재국 정치지도자들에게 전화로 자신의 견해를 밝힐 수 있다. 그러나 그 방식에는 외교관으로서의 덕목이 배어 있어야 한다. 버시바우 대사로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쇠고기 수입 문제에 대한 손 대표의 처신에 불만을 가질 법도 하다. 그러나 ‘실망스럽다’는 식의 직설법을 쓰거나, 손 대표의 주장대로 따지듯이 몰아붙였다면 외교관으로서 취할 태도는 아니다. 또 내용이 공개됐다고 손 대표와의 통화를 ‘사적인 대화’로 규정하는 것도 엉뚱한 감이 있다. 한국에서 가장 민감한 이슈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사적’이 될 수 있단 말인가.

손 대표도 잘한 것이 없다. 손 대표로선 버시바우 대사의 말에 불쾌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통화내용을 전격 공개한 것은 부적절한 대응이었다. 버시바우 대사가 손 대표에게 “대화내용이 공개되는 것을 원치 않아 전화를 했다”고 밝힌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신의가 없다는 말이다. ‘미국대사가 불손했다’는 식의 대화내용이 공개될 경우 어떤 결과가 올지는 손 대표 스스로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특히 그러한 공개가 정파적 이익이 되느냐 여부를 사전에 검토까지 했다고 한다. 순수하지 못하다.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 반미 바람을 불러일으키자는 정치적 계산이라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 나라 전체를 고려하는 국가지도자로서의 의연함보다는 미국대사와 ‘비공개적으로 나눈 얘기’를 공개해 정파나, 자신의 정치적 이익만 챙겨 보겠다는 얄팍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