財界도 비자금 불똥 비상-사법처리.세무조사등도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신한은행 차명계좌 300억원이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의 비자금으로 밝혀지면서 재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이번 사태의 불똥이 일파만파로 기업들에 번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재계 고위관계자들은 휴일인 22일 오후 이 소식을 전해듣고 사태의 심각성을 우려,사건경위와 파장등을 챙기느라 촉각을 곤두세웠다. 재계 한 인사는 이날 『관련기업인 사법처리가능성과 세무조사설등이 벌써 번져 솔직히 뒤숭숭하다』며 조만간 밀어닥칠 한파를 우려했다.
그는 『6공 때 30대그룹치고 청와대 정치자금에 협력하지 않은 곳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그 동안 수차례 루머로 끝났던 비자금설이 실체화한 데 대해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였다.
문제의 6공 비자금이 300억원에 그칠지,아니면 소문대로 4,000억원까지 갈지는 검찰 수사결과를 더 봐야 알 일이다.그러나 돈의 조성경위를 캘 경우 굵직한 그룹기업들이 엮일 개연성은 높다는 게 재계인사들의 분석이다.
이들 돈이 적법한 정치자금임이 입증되지 않고 불법자금으로 드러날 경우,돈을 준 기업도 받은 사람과 동일한 형사처벌을 받게돼 있어 빠져 나오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5,6공 때 신규사업이나 정부공사수주 감사표시,명절 인사,부실기업 인수,골프장등 이권사업,대통령이나 영부인 생일등 여러 명목으로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정치자금이 전달됐다는 소문은 늘 있어왔다.
중소기업을 하는 J사장은 『이번에 4,000억원의 실체가 드러나면 국고로 환수해 중소기업 지원자금으로 써 달라』는 이색주문까지 했다.
그러나 대기업들은 모처럼 문민정부들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었다는 대(對)국민 이미지를 심어왔는데 지난 일로 기업이미지를 또 흐리게 될까봐 걱정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재계는 일단 수사당국과 정치권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이번 일의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