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기업 10곳 중 3곳은‘만성 적자’ 빚은 늘어나는데 돈은 펑펑 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획재정부는 302개 공공기관이 경영정보 시스템(알리오 시스템)에 입력한 ‘2007년도 경영정보’를 27일 집계해 발표했다. 기관별 임직원 수, 평균 보수,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의 정보는 28일부터 알리오 시스템(www.ali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기업의 방만 경영이 또 도마 위에 올랐다.

거듭된 지적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임직원을 늘려 덩치가 커졌고, 빚도 크게 늘었다. 흥청망청 돈 잔치도 여전했다. 일을 하지 않고 시간 외 수당을 받는 것은 예사고, 아예 수당을 기본급에 포함하는 편법도 속출했다. 그 결과 공기업·공공기관 10곳 중 3곳이 지난해 적자를 냈다.

이는 27일 기획재정부가 302개 공기업·공공기관을 조사해 발표한 ‘2007년 경영정보 분석’ 결과다.

공공 부문이 지나치게 비대해지는 문제에 대해 노무현 정부는 5년 내내 지적을 받았지만 고쳐진 게 없었다. 지난해 말 현재 공기업 임직원 수는 8만8000명에 달해 2003년 말(4만9000명)에 비해 80%나 늘었다. 여기에 준정부기관(자체수입 비율이 50% 미만인 기관)과 기타 공공기관을 합한 전체 공공기관의 임직원 수는 전년보다 3.9% 증가한 25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기획재정부 배국환 차관은 “공공기관의 취업자가 늘수록 민간 부문을 위축시킨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공공 부문이 비대해지면 민간이 위축돼 활기찬 경쟁과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경영 실적은 더 나빠졌다. 부채는 지난해 무려 23조원(9.1%) 증가한 276조3000억원에 달했다. 적자 기업은 전체의 30%인 89개로 집계됐다. 기관별로는 신용보증기금(-4369억원)·철도시설공단(-3197억원)·기술보증기금(-3164억원)·대한석탄공사(-929억원)·주택금융공사(-816억원)·신용보증재단연합회(-285억원)·문화예술위원회(-282억원) 순으로 적자가 많이 났다.

사정이 이런데도 임직원들은 돈 잔치를 벌였다. 한국토지공사는 지난해 빚이 7조5000억원이나 늘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용 택지 매입을 위해 채권을 많이 발행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 회사는 2005년 3월부터 24개월 동안 창립 30주년을 기념한다는 명목으로 직원들에게 매월 2만~18만원씩 지급했다.

마사회는 순이익 증가율이 2002년(25.7%) 이후 매년 낮아져 2006년 1.5%까지 둔화됐다. 그런데 이 기간 중에 직원들은 편법으로 기본급을 올렸다. 시간 외 수당을 2001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기본급으로 전환하는 식으로 임금을 올린 것이다.

이런 편법이 횡행하니 공공기관 직원의 연봉은 매년 오르고 있다. 지난해도 평균 5.1% 늘었다. 증권예탁결제원은 직원 평균연봉이 97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산업은행(9300만원)과 코스콤(9200만원)도 평균연봉이 9000만원을 넘는 ‘신도 부러워하는 직장’이었다. 평균연봉이 7000만원 이상인 공공기관도 32개에 달해 전년보다 10개(45%)나 늘었다.

직원 봉급을 높여 주면서 기관장들도 한몫 챙겼다. 기획재정부 분석 결과 지난해 공기업 사장의 평균연봉은 전년보다 11.4% 늘었다. 3개 국책은행장의 연봉이 특히 높았다. 산업은행 총재의 연봉이 6억12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수출입은행장(5억6800만원)·기업은행장(5억5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산은캐피탈(5억3100만원)·한국투자공사(4억8000만원)·증권예탁결제원(4억7300만원)·신용보증기금(4억2700만원)·기술보증기금(4억2500만원) 등 모두 15개 기관의 기관장 연봉이 3억원을 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기관장 업무추진비가 무려 1억1600만원이었다.

지난해 ‘이과수 폭포 외유’ 파문을 일으켰던 공공기관 감사들의 평균연봉도 1억5900만원에 달했다. 산업은행 감사의 연봉이 4억1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수출입은행(3억8900만원)·기업은행(3억5700만원) 등 6곳이 3억원을 넘었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